earticle

논문검색

吐含山 石佛寺 十一面觀音菩薩像의 樣式

원문정보

The Style of the Eleven-headed Avalokitesvara image in Sukbulsa Cave Temple at Tohmasan

토함산 석불사 십일면관음보살상의 양식

鄭禮京

한국선학회 禪學(선학) 제16호 2007.02 pp.173-218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Eleven-headed Avalokitesvara image shows very feminine appearance in the face, proportion, and ornamental richness. This is different from the manly appearence of
Manjusri and Samantabhadra images. That the Eleven-headed Avalokitesvara image has been endowed with the feminine image is interpreted as that the Avalokitesvara is the avatar of compassion and this bodhisattva is compared to the motherhood, who incarnates to save the mankind from the misery when they call the name of Avalokitesvara in a whole heart as like the babies call their mother when they are in a danger.
And this bodhisattva is only one who see frontward but the main buddha image, this seems based on this bodhisattva's religious character to hear the misery of the mankind and give them peace and happiness ultimately, comparing the Manjusri and the Samantabhadra images reflect the character of the worshipper of the main Buddha, in other words, two bodhisattva images have been endowed with the image attending the main Buddha in a whole heart.
Also the form of the Eleven-headed Avalokitesvara image is the middle between the form of the main Buddha image to be worshipped and that of Manjusri and Samantabhadra images to attend him.

한국어

十一面觀音菩薩像은 顔面表現, 比例, 장식적 화려함 등에서 현저히 여성적인 이미지를 띠고 있다. 이는 十一面觀音菩薩像이 普賢菩薩像이나 文殊菩薩像의 남성적인 이미지와 대조되는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十一面觀音菩薩像에 여성적 이미지를 부여한 것은 觀音菩薩이 慈悲의 화신이라는 점, 그리고 아기가 위기에 처했을 때 어머니를 부르는 것처럼 중생이 고통에 처했을 때 觀音菩薩의 명호를 일념으로 부르면 그 소리를 듣고 몸을 나투어 중생을 고통으로부터 건져내어 준다는 觀音菩薩의 존재가 어머니의 존재, 곧 母性에 비유되고 있다는 점에서 十一面觀音菩薩像에는 여성적 이미지가 강하게 부여되어 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한편 석굴 主室 내부에 本尊像 외에 유일하게 正面向을 향하고 있는 것은 文殊菩薩像이나 普賢菩薩像이 본존이신 석가모니불을 온 마음을 기울여 禮拜, 讚嘆하고 있는 모습으로 표현되어 있는 데에 비해, 곧 本尊佛을 脇侍한다는 이미지가 강하게 투영되어 있는 데에 비해 十一面觀音菩薩像은 중생의 고통을 들어주고 치유해 주는 衆生救濟를 상징하는 존재라는 사실, 곧 예배자와 대면하여 그의 祈願과 苦痛을 들어주고 그것을 해결해주는 禮拜對象으로서의 성격이 강하게 부여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해석된다. 그리고 十一面觀音菩薩像의 형태표현 자체도 本尊佛상이나 文殊, 普賢菩薩像의 중간 형태를 취하고 있어, 다시 말하면 인간적인 면모를 띄고 있는 文殊, 普賢菩薩像보다는 보다 엄정한 종교적 위엄을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도 이러한 성격이 다시 확인된다.
石佛寺에서는 本尊像, 文殊, 普賢菩薩像, 十一面觀音菩薩像을 표현하면서 각 존상의 종교적 의미를 명확하게 인식하고 치밀한 형상선택을 통하여 그러한 의미와 관념을 시각화하고 있다는 데에 石佛寺 조각의 중요한 특징이 있다는 것을 재차 확인할 수 있다.

목차

Ⅰ. 서론
 Ⅱ. 顔面表現
 Ⅲ. 신체의 공간분리
 Ⅳ. 量感
 Ⅴ. 比例
 Ⅵ. 姿勢
 Ⅶ. 服飾 및 裝身具의 表現
  1. 전통적인 모티프
  2. 인도, 동남아시아 계통의 모티프
  3. 귀족의 현실 복장에서 온 모티프
 Ⅷ. 結論
 국문요약문
 영문요약문
 참고문헌

저자정보

  • 鄭禮京 정예경.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