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半行半坐三昧의 修行法에 관한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ractice of the samādhi of half-moving, half-sitting meditation

반행반좌삼매의 수행법에 관한 고찰

김종두

한국선학회 禪學(선학) 제15호 2006.12 pp.527-554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hih-i (智顗) established the system of the samādhi of half-moving, half-sitting meditation (半行半坐三昧) in the four kinds of samādhi (四種三昧). It was named the samādhi of half-moving,
half-sitting meditation (半行半坐三昧) by the posture of body and named expansive samādhi (vaipulya-samādhi, 方等三昧) or lotus samādhi (saddharma-puṇḍarīka-samādhi, 法華三昧) by the method.
These two kinds of method are common in the discipline of confession though based on the different textual ground. Therefore he clarifies that Buddhist Practice and method of confession (懺法) are in an undetachable connection.
In other words, he said that Buddhist Practice is based on the discipline of confession(懺悔行) and that is the Buddhist Practice.
Also, he argued that there is no liberation (mokṣa, 解脫) without disclosing one's own sinful things(罪業性). The Chih-kuan (śamatha-vipaśyanā, 止觀) arises from deliberating on the nature of human being and isn't obtained by escaping from reality. They disagree in period that confessional method of the vaipulya (方等懺法) requires 7 days and confessional methods of the Lotus (法華懺法) requires 21 (3×7) days, but common in the method of mainly moving(行)․sitting(坐) but little abiding(住)․lying(臥). It seems likely to be fixed in the way of practice but it aims at the right contemplation on ultimate feature(實相觀).
It diversifies methodical aspects of Seon practice that one performs together rependance of six sense-faculties(六根懺悔), reciting the sūtra and sitting meditation. That is a reciting Lotus Sūtra 『Saddharma-puṇdarīka Sūtra, 法華經』and sitting meditation, a studying 『Avatamsaka Sūtra(華嚴經)』and sitting meditation, a studying 『Vajracchedhika Prajñāpāramitā Sūtra(金剛經)』
, 『Mahāprajñāpāramitā Sūtra(大品般若經)』and meditation, repetition of the dhārṇī(陀羅尼), invocation of the Buddha's name and so on. This methodical diversity contributes toward development and abundance of Seon practice.

한국어

지의는 사종삼매 속에 반행반좌삼매의 체계를 확립하였다. 반행반좌삼매라는 명칭은 身儀에 의한 것이고 법에 의하면, 방등삼매 또는 법화삼매라고도 한다.
이 방등과 법화의 두 가지 행법의 경전이 각각 다르지만, 참회행인 점은 공통된다. 그래서 지의는 불도수행과 참법은 부즉불리의 관계에 있다는 것을 명시하고 있다.
즉 불도수행이 참회행을 근거로 하고 참법을 닦는 것이 그대로 불도수행이라고 한다. 자기 안에 내포되어 있는 죄업성을 발로하지 않는 한 결코 해탈은 있을 수 없다는 것을 주장하고 있다. 또한 지의가 주장하는 지관사상은 인간의 본성을 응시한 결과 생기는 것이고 어디까지나 현실의 자기를 떠나 얻을 수 없다는 것을 알 수가 있는 것이다. 그래서 방등참법이 7일, 법화참법이 3․7일의 기간이 다를 뿐 똑같이 行․坐를 주로하고 住․臥는 않는다. 그리고 반행반좌삼매의 형식은 상당히 고정화된 것으로 보이지만, 지향하는 목적은 실상관이라고 하겠다.
또한 육근참회를 하고 경전의 독송과 좌선을 겸수하는 이 수행은 선수행의 다양화를 위해 깊이 참고해볼 만한 수행법이다. 곧 『법화경』독송과 좌선수행, 『화엄경』의 연찬과 선수행, 『금강경』․ 『대품반야경』삼론의 수업과 좌선수행을 겸수하고, 다라니의 지송과 좌선, 염불행과 좌선을 겸수하는 등 선 수행방법의 다양화는 결코 선의 순일성을 해치는 것이 아니라 선의 발전과 풍부화에 기여할 것이다.

목차

Ⅰ.들어가는 말
 Ⅱ. 『마하지관』의 사종삼매
 Ⅲ. 반행반좌삼매의 경전 근거
  1. 방등삼매 실천의 구체적 방법
  2. 법화삼매 실천의 구체적 방법
 Ⅳ. 나가는 말
 국문요약문
 영문요약문

저자정보

  • 김종두 Hyea myeong. 동국대 선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