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직윤리의 이론적 토대와 통합적 접근

원문정보

The Theoretical Base of Teacher's Professional Ethics and Unified Approach

최문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hen we treat with the teacher's professional ethics, we face problems like as 'Is teaching a
professionalism?' or 'Is teacher a professional like lawyer or doctor?' If we define the teaching as
professionalism, it needs very hard training process of acquiring qualification. It also needs much higher moral standard and code. And it accompanies with social regulation. So some keeps the scepticism about the teacher's moral role and responsibility as a professional.
Nevertheless, there are moral dimensions in the teacher's teaching activities. Although all teachers are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moral education, the teaching is originally a moral endeavor. In spite of some differences among subjects, there are always ethical nature in contents, methods and intentions/goals of teaching. Almost teacher's working in classroom as well as general activities such as counselling, giving grades, and organizational lives influence widely the students' attitude, belief, and action. Therefore we can say the teaching professional ethics should be demanded.
On these arguments, my paper aims to present the base of teaching professional ethics. These
theories can be differentiated into two : theories related with cognitive capabilities, and theories related with affective traits. Then I make a unified theoretical model of teaching professional ethics. Lastly I try to present some tasks of teaching professional ethics education.
Whether theories or practices, it is desirable to balance both developing the cognitive capabilities of moral reasoning, judgment, decision making based on the justice principle, and cultivating the affective character on the caring orientation. I hope to help the teacher educators to decide 'what' and 'how' of programs in teacher professional ethics education.

한국어

교직윤리를 다룰 때, 우선적으로 제기될 수 있는 근본 문제는 과연 ‘교수가 전문적인 활동인가 혹은 교직이 전문직인가?’라고 말할 수 있다. 교직을 의사나 변호사와 같은 전문직으로 정의할 경우, 매우 엄격한 훈련이나 까다로운 자격인증 과정을 필요로 하고, 그리고 사회적 규제를 수반하기 때문에, 전문직으로서의 교사의 도덕적 역할과 책임에 관해 부정적인 견해를 견지하는 사람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사의 교수 활동에는 윤리적 차원이 존재한다. 모든 교사가 직접적으로 도덕적 교육에 연루되는 것은 아니지만, 교육 및 교수는 본래 도덕적인 일이다. 교사의 가르치는 과목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교사의 기본 활동인 교수의 내용, 방법, 의도/목적에 는 대체로 윤리적 성격이 존재한다. 교사가 교실에서 수행하는 일 그리고 학생 지도, 성적 부여, 조직 생활 등과 같은 일반적인 교사 활동 대부분이 학생들의 태도, 신념, 행위에 광범위하게 도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감안하면, 교사의 전반적인 행위에는 근본적으로 윤리적 성격이 내재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런 점에서 교직윤리가 요청된다.
이러한 논의를 근거로 본 논문에서는 먼저 교직윤리의 이론적 배경을 인지적 능력과 관련된 이론, 그리고 정의적 특성과 관련된 이론으로 구분해서 알아보고, 이를 종합하여 교직윤리이론의 통합적 모형을 구성하였다. 그런 다음 교직윤리의 이론과 교직윤리 교육에서 요구되는 통합적 접근의 과제를 알아보았다. 교직윤리의 이론이건 실제 교육에의 적용이든 간에, 인지적 차원에서는 정의 원리에 입각해서 도덕적으로 추론, 판단, 의사결정할 수 있는 능력을 발달시키고, 정의적 차원에서는 배려 성향을 함양하는 것을 균형있게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교직윤리의 이론적 토대
  1. 인지적 능력과 관련된 이론 : 정의
  2. 정의적 특성과 관련된 이론 : 배려
 Ⅲ. 이론과 교육에서의 통합적 접근
  1. 교직윤리 이론에서의 통합적 접근
  2. 교직윤리 교육에서의 통합적 접근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문기 Choi, Moon-Ki. 서원대학교 윤리교육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