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J. Wilson의 사람의 개념에 기초한 도덕원리와 도덕교육에 관한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f J. Wilson's Theory of Moral Principle and Moral Education Based on the Concept of a Person

남궁 달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ilson says that, in order to establish morality as a subject, moral education should be approached by internal authority derived from the concept of education itself operated by such reasons as learning, truth, the pursuit of rationality, rather than by such external authority as ideologies, parties depended on the sayings of leaders, heroes, saints and so on. It is because morality is a matter of conduct followed by choosing and judging moral problems in the moral situations with the criteria of rational reasons. He sees a rational animate creature as a person who uses language with his own feelings. His theory of morality is based on the concept of a person. He claims the concept as a moral principle. He suggests the list consisted of 16 moral components based on the concept of a person. It is consisted of a series of procedures and methods required in the course of resolving moral problems using the agent's knowledge, skills, and abilities, rather than specific contents. He says the moral components work as the methodology of moral education; moral education is for the teacher to help his students to develop and increase the moral components for themselves by using both social and academic approaches under cross-reference. He sees such a person as morally educated person who has developed the moral components; moral education based on the components can be approached by culture free, with nonpartisan and nonexternal authority; the purpose of moral education is to develop students' ability to resolve their faced moral problems by moral thinking based on the concept of a person. He sees such an approach to moral education as operated by the learner's internal authority, that is, his reason. He says there should be its own ways of thinking, its own forms of life, in order for morality to be a subject like science or history. He says the list of moral components offered by him works as the form of moral thinking and moral life. For the reason, if moral education based on the components is to be approached, it would be established as a subject. However, as there were many obstacles on the way of science and it took long time until it had established as a science, so there will be many obstacles and it will take long time until morality will be established as a subject. It is required for those who are concerned with moral education should make every effort to overcome those obstacles in order for morality to be established as a subject.

한국어

윌슨은, 우리가 도덕을 하나의 학문(교과)으로 수립하기 위해서는 도덕교육이 지도자, 영웅, 성현의 말씀 등 이념적, 당파적인 외적 권위에 의존하기보다는 학습, 진리, 합리성의 추구 등 이성이 작용하는 교육 자체의 개념에서 이끌어지는 내적 권위에 기초하여 접근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도덕은 합리적 이유를 준거로 선택 또는 판단하는 행위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그는 나름대로의 자기감정을 가지고 언어를 사용하는 이성적 존재를 사람으로 본다. 그의 도덕성 이론은 이러한 사람의 개념에 기초되어 있다. 그는, 이러한 사람의 개념이 도덕원리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사람의 개념에 기초한 도덕성 요소목록을 4범주에 걸쳐 16요소로 제시한다. 이 요소목록은 구체적 내용이기보다는 행위자가 그의 지식, 기술, 능력을 사용하여 도덕적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일련의 절차 및 방법으로 구성된다. 그는, 이러한 도덕성 요소목록이 도덕교육의 방법론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본다; 이러한 요소들을 사회적 접근법과 학술적 접근법을 상호 참조하여 학생들에게 계발 또는 증진시켜주는 일을 도덕교육으로 본다; 이러한 요소들을 갖춘 사람을 도덕적으로 교육된 사람으로 본다. 그는, 그의 도덕성 요소에 기초한 도덕교육은 비당파적, 탈문화적으로 접근될 수 있다고 본다; 외적 권위에 의존하지 않는다고 본다; 도덕교육의 목적을 사람의 개념에 기초한 도덕적 사고하기에 의해 도덕적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함양하는 것으로 본다; 이러한 접근을 학습자의 이성, 즉 내적 권위가 작용하는 도덕교육으로 본다. 그는, 도덕이 과학, 역사 등과 같이 하나의 교과(학문)가 될 수 있기 위해서는 도덕도 과학 등과 같이 나름대로의 사고방식과 삶의 형식을 가져야 한다고 말한다. 그는 그가 제시하는 도덕성의 4범주 16요소가 도덕적 사고방식과 도덕적 삶의 형식으로 작용한다고 본다. 그러므로 그의 도덕성 요소목록에 기초한 도덕교육이 이루어질 때 도덕교육이 하나의 교과(학문)로 정초(定礎)될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예를 들어 과학이 하나의 과학으로 수립되기까지 많은 어려움과 시간이 걸렸듯이 도덕도 하나의 학문으로 수립되기까지는 많은 어려움과 시간이 걸릴 거라고, 그러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고, 윌슨은 말한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도덕 및 도덕교육에 대한 편견
 III. 도덕교육과 합리적 사고
 IV. 도덕성 요소와 도덕적으로 교육된 사람
 V. 도덕성 요소 계발을 위한 도덕교육방법
 VI.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남궁 달화 Namkung, Dal-Wha. 한국교원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