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What is a essential factor of moral teacher at our days? Perhaps, it is a competence of moral knowledge, moral reasoning, or moral imagination and so on... But it is not satisfied for us to the relevancy of basic factors for moral teachers. This article is a trial to get a critical point for the current system of the basic passing subjects of moral teacher's education course at South Korea. It is a conclusion of this article, that the current system has a little systemic traits but also need a new subjects. The current system is needed for strengthening of moral educational subjects and ethics courses, and reconstruction of social sciences subjects to focusing on civic ethics. Through this exertion, we expect to get a good moral teacher and moral man too.
한국어
이 논문에서 논자는 도덕 교사의 본질적 자격을 다시 묻는 것을 논의의 출발점으로 삼아 현행 기본이수과목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에, 그 장점을 살리고 한계를 보완하는 방향으로 기본이수과목 체제를 보완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고자 했다. 도덕․윤리 교사의 양성 과정에서 기본이수과목은 필수적인 이수과정이라는 점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현행 기본이수과목 체제는 교과교육학과 교과 내용학이라는 체제를 바탕으로 구성되어 있고, 도덕과 교과 내용을 가르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목표와도 일정한 정합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교과교육학의 비중이 약하고 변화하는 도덕과 교육과정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도 동시에 지니고 있다. 도덕․윤리 교사 양성을 위한 기본이수과목 체제는 우선 현행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 이하는 분류 체제를 유지하는 것을 근간으로 하여, 도덕교육학과 윤리학 영역이 강화되어야 하며 사회과학 영역은 사회 교과와의 차별성과 연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시민윤리 중심으로 재구성되어야 한다. 나아가 교과교육학 선택과목의 경우에는 논술교육론을 강화하고 도덕심리학 과목을 독립적으로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기본이수과목 개선을 통해서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것은 물론 좋은 도덕교사의 양성이다.
목차
I. 우리 논의의 출발점
II. 현행 기본이수과목의 체제와 내용에 대한 비판적 검토
1. 도덕교사의 자격 요건
2. 현행 기본이수과목 체제의 분석
III. 중등 도덕ㆍ윤리 교사 자격 취득을 위한 기본이수과목 개선 방안
1. 도덕교육학 및 윤리학 영역의 강화
2. 시민윤리 중심의 사회과학 및 교과교육 선택과목 분야 재구성
IV. 도덕교사의 자격을 다시 물으며 : 결론을 대신하여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