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맹자의 실천적 도덕교육론

원문정보

The Theory of Practical Moral Education in Master Meng

안영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thought of Master Meng is that of practical moral education. In this paper, I tried to show this point through the viewpoint of Lu-Wang School(陸王學) as well as the viewpoint of Cheng-Zhu School(程朱學). The theory of Master Meng that man's inborn nature is good, is recognized and argued by not a phenomenal analogy or analysis to the mind but the practice of moral value, humanity(仁) and righteousness(義). By the ‘practical character’ of this theory, a subjectivity and a moral autonomy come to the central features in his moral education. In the purpose of moral education, first of all, this features are showed as a man of virtue, ‘subjective and autonomous personality’, and as a practical aim of ‘construction of harmonious society’. And In the principle of moral education, this features come to ‘the self-awareness of subjectivity’ and ‘autonomous moral practice’. Next, in the course of moral education, the steps of ‘a introspection of turn inwards and examine oneself(反求諸己)’, ‘a moral practice of preserving conscience and breeding true character(存心養性)’, and ‘an ultimate enlightening of recognition of the human nature(知性) and recognition of the ultimate principle(知天)’ could be divided into the each steps by ‘the process of autonomous moral practice’ of a subject . This process informs to us that the knowledge in studies of Master Meng is ‘a practical knowledge’ acquired by the autonomous moral practice. Finally, in the method of moral education, the methods of ‘subjective and autonomous education’, ‘successive steady advance’, and ‘consideration of aptitude and capability’ are methods of education which mean an elevation of capability of moral practice. In this respect, the main feature of the theory of moral education in Master Meng is ‘an emphasis on the practice’ which is at the head of ‘a moral practice by a subject’.

한국어

맹자의 유학사상은 실천적인 도덕교육의 사상이다. 본 논문은 맹자학의 이러한 특성을 드러내기 위해 정주학적 관점뿐만 아니라 육왕학적 관점도 참조하여, 맹자 도덕교육론의 실천성에 관해 체계적인 이해를 시도하였다. 맹자의 성선설은 마음에 대한 현상적인 분석이나 유추가 아닌, 인의(仁義)라는 도덕가치의 실천을 통해 체득되고 주장된 것이다. 이러한 성선설의 ‘실천적 성격’에 의해 주체성과 자율성이라는 그의 도덕교육론의 주요 특성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특성은 각 부분에서 다음과 같이 드러 난다. 이러한 특성은 우선 도덕교육의 목표에서 군자(君子)라는 ‘주체적 자율적 인격의 양성’과 이를 통한 ‘인화(人和) 세계의 건설’이라는 실천적인 목표로 드러난다. 그리고 도덕교육의 원칙에서는 ‘주체성의 자각과 확립’ 그리고 ‘자율적인 도덕실천’으로 이러한 특성이 드러난다. 다음으로 도덕교육과정에 있어서 ‘반구저기(反求諸己)의 내향적 성찰’, ‘존심양성(存心養性)의 도덕적 실천’, ‘지성(知性)․지천(知天)의 궁극적 체증’ 단계는 주체가 자기 내부로부터 도덕 가치를 자각하여 이를 실천하는 ‘자율적인 도덕실천 과정’을 단계별로 구분한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맹자학의 앎(知)이 자율적인 도덕실천을 통해 획득된 ‘실천적인 앎’(實踐知)임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도덕교육방법에 있어서 ‘주체적․자율적 교육’과 ‘단계적인 점진’ ‘적성과 재능의 고려’라는 방법은 모두 피교육자의 도덕 실천능력의 향상을 의도하는 교육방법들이다. 이렇게 볼 때 맹자의 도덕교육론은 ‘주체적인 도덕실천’을 제1의로 하는 ‘실천성의 강조’가 근본 특징이라고 하겠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도덕교육론의 토대 : 성선설
  1. 성선설의 제기 과정
  2. 성선설의 제기 내용
 III. 도덕교육론의 내용
  1. 도덕교육의 목표
  2. 도덕교육의 원칙
  3. 도덕교육의 과정
  4. 도덕교육의 방법
 I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안영석 Ahn, Young-Seok. 영남대학교 철학과 외래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