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제7차 초등 도덕교육의 실태와 발전 방안

원문정보

The realities and developmental plan of the 7th mor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이인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the proper ways how to accomplish the goal of moral teaching effectively according to the 7th moral curriculum. To the end, First, I analysed how the 7th moral curriculum is practised, what are difficulties and what is supplemented to solve the problems. While analysing the realities of mor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I found that all the members of school including teachers and students didn't consider the moral teaching as a important educational activity. This recognition connected, therefore, closely 'the crisis of moral education'. This paper focused on two points. One is how is connected between the crisis of moral education and the present position of mor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other is what is the realities of moral education, and if any, what is the problems and how to solve them effectively. In order to examine the realities of moral education, I approached two ways, that is, 'in' and 'out' of the elementary school. The former means the management of moral curriculum, the latter moral environment of home and community as the supporter of mor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As the proper ways for development of moral education, I proposed the producing of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rationale of moral education, the promotion of knowledge and using ability in moral teaching and improvement of bad environment around the elementary school.

한국어

본 논문의 목적은 2000년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되기 시작한 제7차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이 어떻게 실천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어떤 어려움이 있고, 또 무엇을 보완해야 할 것인가에 초점을 두고, 제7차 도덕과 교육과정에 근거한 초등 도덕 수업의 효율화를 위해 어떤 노력들이 초등 현장의 내․외에서 있어야 할 지에 대해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논문에서 초점을 둔 것은 두 가지로서, 하나는 초등 도덕교육의 위기와 위상이 어떻게 연결되고 있는가? 이며, 다른 하나는, 초등 도덕교육의 현 실태는 어떠하며, 만약 문제점이 있다면 그것을 어떻게 보완해 볼 수 있겠는가? 이다. 초등 도덕교육의 현 실태를 살펴봄에 있어 초등학교 ‘안’의 문제와 ‘밖’의 문제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미래 지향적인 초등도덕교육의 발전 방안으로서, 초등 도덕교육에 대한 이론적, 실제적 정당화 근거를 확보하여 초등 도덕교육의 위상 제고, 제7차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실 있는 운영, 초등학교 도덕과 수업의 원리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과 활용 능력을 갖추기, 학교 도덕교육을 저해하는 전반적인 교육체제 개선 등을 제시하였다.

저자정보

  • 이인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