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학생의 식행동 및 실과교육과정에서의 식생활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원문정보

초록

영어

Researches into teachers'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nutritive conditions and dietary behaviors found that the teachers recognized obesity as the greatest problem but did not acknowledge anaemia and low weight as problems. A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etary behaviors, the teachers took serious such problems as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balanced diet, excessive intake of processed or instant foods, and lack in table manners. By contrast, they did not consider serious such dietary behaviors as students' irregular eating time, excessive regulation of body weight, and skipping of meals. Also, the nutritive knowledge of female teachers was greater than that of males, and the knowledge was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career of the teachers. Furthermore, the teachers knowledge may be incorrect since they usually get information on nutrition education from mass media including TV, magazine, and newspaper. The teachers understood that nutrition education at practical art curriculum is very necessary and helpful to the creation of correct food habit, but they perceived that actual nutrition education at practical art curriculum was still poor. They thought it was difficult to carry out nutrition education in school because of their poor nutritive knowledge, professionalism, and class time, poor acquisition of systematic curriculum, lack in educational materials, and overburdened with school work. Moreover, it is revealed that the teachers supposed that the activation of nutrition education in school requires schools to provide nutritive guidance to students in cooperation with the students' homes, nutritive guidance in connection to food services in school, and continued re-training. The teachers did not want to have another teachers separately in charge of students' nutrition or health and they to personally acquire nutritive knowledge and provide proper guidance to the students.

한국어

초등학생의 영양 상태 및 식행동에 대해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비만을 가장 큰 영양 문제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빈혈과 저체중에 대한 문제점은 크게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리고 초등학생의 식행동 중 편식, 가공식품이나 인스턴트식품의 과잉섭취, 식사예절의 부족 등의 문제성에 대해서는 심각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초등학교 아동들의 불규칙한 식사시간, 과다한 체중조절, 결식 등의 식행동에 대해서는 문제점을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지 않았다. 또한 본 조사 대상자인 교사들의 영양지식 점수는 여자교사가 남자교사 보다 높았고, 교육경력이 많을수록 낮았으며, 식생활 및 영양교육에 대한 정보는 주로 매스 미디어(TV, 잡지, 신문 등)를 통해 많이 얻는 것으로 나타나 부정확한 정보를 습득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실과 교육과정에서의 식생활 및 영양교육은 학생들의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해 매우 필요하며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 실과교과과정에서의 식생활 및 영양교육 내용만으로는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교사의 영양지식 및 전문성 부족, 교과시간 부족, 체계적 교육과정 습득 미비, 교육자료 부족, 업무과다 등의 이유로 학교에서 실과교육과정을 통한 식생활 교육의 어렵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학교에서의 식생활 및 영양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가정과의 연계지도, 학교급식과의 연계지도, 지속적인 재교육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여 영양교사 또는 보건교사 등 전담교사를 따로 두기 보다는 자신이 직접 영양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여 지도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조사대상 및 기간
  2. 조사 내용 및 방법
  3. 자료처리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 조사대상자의 일반사항
  2. 초등학생의 영양상태 및 식행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3. 초등학교 교사들의 영양지식 및 식생활 관련 정보원
  4. 실과 교육과정에서의 식생활 및 영양교육에 관한 인식
 Ⅳ.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유정 KIM, Yu-Jeong. 중앙대학교, 박사
  • 이지은 LEE, Ji-Eun. 중앙대학교, 박사과정
  • 이소영 LEE, So-Young.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 정인경 JUNG, In-Kyung. 중앙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