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임상운동

고농도의 산소 및 음이온 처치가 최대운동부하 시 성인 남․녀의 산화 및 항산화효소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Effects of O2 and minus ion treatment on oxidant and anti-oxidant enzymes activity during maximal GXT in men and women

노성규, 김학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 profiles of oxidant and anti-oxidant enzymes activity followed 33% O2 supply and minus ion treatment in men and women. Thirty men (n=15) and women (n=15) partici-pated as subjects of this study. All subject performed a four graded exercise testing (GXT). Plasma malone dia-ldehyde (MDA) concentration in men and women was shown a significantly low levels in immediately after exercise and recovery 30 min. compared to rest state of minus ion and O2+minus ion combination treatment group. This results suggest that minus ion and O2+minus ion treatment was exist a positive effect to inhibitory of MDA production. Plasma superoxide dis-mutase (SOD) activity in men was not shown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eriod and group. Plasma SOD activity in women was shown a significantly in-creased levels in FCG and FMG compared to FTG and FOMG. Plasma catalase (CAT) activity in men and women was not shown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reatment. Conclus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inus ion and O2+minus ion combination treatment before exercise was a positive effect to plas-ma MDA inhibitory, but no direct effect in anti-oxidant enzymes activity.

한국어

본 연구는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운동전 33% 산소공급, 음이온 처치 및 산소+음이온 복합처치에 따른 산화 및 항산화효소 활성도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피험자는 신체건강 한 성인 남․녀를 각각 15명씩 구분하였으며, 실험조건에 따른 4번의 반복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남․녀 모두에서 혈장 MDA 농도는 통제 및 산소공급 집단에 비해 음이온 처치 및 산소+음이온 처치 집단에서 안정시에 비해 최대운동직후 및 회복 30분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준을 나타냄으로서 음이온 및 산소+음이온 처치가 혈장 MDA 생성을 억제하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혈장 SOD 활성도는 남자통제집단(MCG)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집단간 유의한 차이도 없었으나, 여자통제집단(FCG)및 음이온처치집단(FMG) 은 유의하게 증가된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산소발생기사용집단(FTG)및 산소+음이온사용집단(FOMG)은 안정시에 비해 회복30분에서 유의하게 감소된 수준을 나타내었다. 혈장 CAT 활성도는 남녀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운동전 음이온 및 산소+음이온 처치가 혈장 MDA를 억제시키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나, 항산화효소 활성도를 변화시키는 직접적인 효과는 없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목차

Abstract
 초록
 서론
 연구 방법
 결과
 논의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노성규 Rho, Seong-Kyu. 강원대학교
  • 김학렬 Kim, Hag-Lyeol. 목포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