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Secondary school teachers primarily form their identities around their major subjects. However,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demand for expanding students’ subject choices, teachers are increasingly being asked to teach not only their major subjects but also subjects outside their expertis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teachers teaching out of their fields due to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negotiate their identities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high school credit system policy.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four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out-of-field teaching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results revealed that teachers experience identity tensions manifested as feelings of embarrassment from losing their self-position as professionals, uncertainty in establishing their self-position regarding unfamiliar subjects, and a sense of crisis and powerlessness toward being compelled to teach out of their fields. In negotiating these identity tensions, teachers devised various strategies. Some perceived out-of-field teaching as something to "overcome," while others saw it as an opportunity to explore beyond their major subjects. The former employed identity negotiation strategies such as self-positioning as learners of the new subjects, preserving their sense of self by incorporating familiar teaching techniques into unfamiliar subjects, and assigning peripheral and instrumental significance to their out-of-field teaching. In contrast, the latter employed strategies like reassessing their previous teacher identity as singular subject specialists, interpreting the new subject through the lens of their beliefs, and experimenting with new teaching methodologies. These differences were influenced by factors such as teacher assignment, personal interests in subjects, and communication with fellow teacher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high school credit system policies were discussed.
한국어
중등교사들은 주로 전공 교과를 중심으로 정체성을 형성한다. 그러나 고교학점제의 도입에 따른 학생의 과목 선택권 확대를 위해, 교사들은 주전공이 아닌 교과도 가르쳐야 하는 ‘다교 과 지도’를 요청받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교학점제 운영학교에서 다교과를 지도하는 교 사가 어떻게 자신의 정체성을 협상하는지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교학점제 정책에 시사 점을 제공하려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다교과를 지도한 경험이 있는 4명의 교사를 연구 참여 자로 하여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다교과 지도 교사들이 겪는 정체성 긴장은 ‘전문가로서의 자기-위치를 상실함에 따른 자괴감’, ‘경험이 없는 교과에 대해 자기-위치를 세 워야 하는 불안감’, ‘강요된 다교과 지도로 인한 거부감과 위기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정체 성 긴장에 대하여, 한편에는 다교과 지도를 ‘극복해야 할 것’으로 인식하는 교사들의 전략들 이, 다른 한편에는 다교과 지도를 기회로 삼아 ‘전공 교과를 넘어서’ 보는 데 방점을 둔 교사 들의 전략들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차이를 낳은 요인으로는 교사 배정 방식, 교과에 대한 개 인적 관심, 동료 교사와의 교류 및 학교 문화가 제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고 교학점제 정책에 대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교육 정책과 교사의 정체성 협상
2. 경계 횡단 이론으로 본 다교과 지도
Ⅲ. 연구 방법
1. 연구 참여자
2. 자료 수집 및 분석
Ⅳ. 연구 결과
1. 다교과 지도 교사의 교사 정체성 협상 과정
2. 다교과 지도 교사의 정체성 긴장
3. 다교과 지도 교사의 정체성 협상 전략
4. 다교과 지도 교사의 정체성 협상 전략에 영향을 미친 요인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