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유아의 발현적 연극놀이를 위한 예술교육가의 역할 탐색

원문정보

Exploring the Role of Teaching Artist in Emergent Dramatic Play for Young Children

김지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ole of arts educators in emergent dramatic play that enables young children, recognized as rich and capable beings, to naturally express their dramatic potential. The research methodology employed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terviews, while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y was used for analysis. The study was conducted in a class of 4-year-olds at Y Kindergarten in B Metropolitan City, from early October 2022 to the end of January 2023, with a total of 70 participatory observations.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lead and assistant teachers, each lasting 30-40 minutes over four sessions, and formal individual and group interviews were also held with the children. Additional informal interviews were conducted as needed.

한국어

본 연구는 유아가 풍요로운 존재로서 그들의 극적인 잠재성을 자연스럽게 발현할 수 있는 발현적 연극 놀이를 위한 예술교육가의 역할을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참여관찰과 면담을 통해 이루 어졌으며, 분석에는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이 사용되었다. 연구는 B 광역시의 Y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4세 한 학급을 대상으로, 2022년 10월 초부터 2023년 1월 말까지 총 70회의 참여관찰을 통해 진행되었다. 면담은 담임과 부담임 교사를 대상으로 4차례, 각각 30-40분씩 진행되었고, 유아와의 형식 적 개별·집단 면담도 4차례 진행되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비형식적 면담도 추가로 실시되었다. 연구결 과는 첫째, 유아와 함께 파트너이자 촉진자가 되는 ‘유아 되기’의 예술교육가였다. 둘째, 유아에게 다양 한 환경을 지원하고 물질과의 관계 맺기를 돕는 예술교육가였다. 셋째, 유아와 함께 공동주체자로서 수 평적 참여자가 되는 예술교육가였다. 본 연구는 발현적 연극놀이에서 예술교육가의 역할을 재조명하며, 유아의 자발적인 놀이를 더욱 풍부하게 지원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참여자
2. 연구설계 및 절차
3. 자료수집 및 분석
Ⅲ. 연구 결과
1. ‘유아 되기’의 예술교육가
2. 물질과 관계 맺기를 돕는 예술교육가
3. 수평적 참여자가 되는 예술교육가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지윤 Kim, Ji Youn. 동명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