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마이크로디그리 제도에 대한 A대학 교수자 인식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A University Professors on Microdegree

전현옥, 채민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101 professors at a university in the Chungcheong region regarding the Microdegree system and to propose directions for its successful introduction and operat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considering academic fields, positions, and years of service to reflect the diverse backgrounds of the professors. The survey included 20 questions covering the necessity, understanding, effectiveness, and feasibility of the Microdegree system.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OVA in Jamovi, while open-ended responses were examined using Python-based text frequency analysis to extract key themes and trends. Results indicated that professors perceived the Microdegree system positively, recognizing its potential to enhance students' practical skills and expand employment opportunities. Differences in perceptions were identified based on academic fields, ranks, and years of service; notably, professors with shorter careers rated the system's necessity and effectiveness more positively, and engineering faculty showed higher comprehension of its practicality compared to other fields.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tailored approaches that consider diverse backgrounds when implementing the system. This study provides foundational data for the design and operation of the Microdegree system, reflecting professors' perceptions and needs, and recommends further research involving broader university contexts and in-depth analysis.

한국어

본 연구는 충청권 A대학교 교수자 101명을 대상으로 마이크로디그리 제도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심층적으 로 조사하여, 제도의 성공적인 도입과 운영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교수자들의 다양한 배 경을 반영하기 위해 학문 분야, 직급, 근무 연수 등을 고려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 문항은 마 이크로디그리의 필요성, 이해도, 효과성, 실행 가능성 등을 포함하여 총 20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데이터는 Jamovi를 사용한 기술통계와 ANOVA 분석을 통해 처리되었으며, 개방형 문항은 Python을 활용한 텍 스트 빈도 분석으로 주요 주제와 경향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교수자들은 마이크로디그리 제도가 학생들의 실무 능력 향상과 취업 기회 확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학문 분야, 직급, 근무 연수에 따라 마이크로디그리 제도에 대한 인식과 필요성, 효과성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경력이 짧은 교수자들이 제도의 필요성과 효과성에 대해 더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으며, 공학 계열 교수들은 다른 분야 에 비해 마이크로디그리의 실효성에 대해 높은 이해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제도 도입 시 교수자들의 다양 한 배경을 고려한 맞춤형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교수자들의 인식과 요구를 반영한 마이크로디 그리 제도의 설계와 운영에 실질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향후 다양한 대학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조사와 심 층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마이크로디그리의 개념과 특성
2. 마이크로디그리 운영 현황
3. 마이크로디그리 관련 연구 동향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조사도구
3. 자료분석 방법
Ⅳ. 연구결과
1. 마이크로디그리에 대한 이해
2. 마이크로디그리의 필요성
3. 마이크로디그리의 효과성
4. 마이크로디그리 실행 가능성
5. 마이크로디그리 향후 발전 가능성
6. 기타 의견
Ⅳ. 결론
1. 요약
2. 제언
3. 논의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전현옥 Hyeon Ok Jeon. 한서대학교 교육과정인증센터 조교수
  • 채민정 MIN JUNG CHEI. 한남대학교 교육개발센터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