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nalysis of the Educational Needs of Elementary School Instructors regard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aching Competency
초록
영어
As the demand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increases, the need and importance of AI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re also growing. Currently, AI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s primarily conducted through after-school activities and creative experience programs, which are managed by specialist instructor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of these specialist instructors regarding the teaching competencies required to conduct AI lesson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84 elementary school specialist instructors participating in AI education, and the analysis revealed differences between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the actual possession of AI teaching competencies. The results indicate that while these instructors focus on practical knowledge related to AI education, they also recognize the need to enhance their content knowledge and teaching execution skills. This study suggests that systematic and continuous educational programs and support systems are necessary for the balanced development of AI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By doing so, specialist instructors can effectively support teachers in delivering AI education and provide elementary students with more beneficial learning experiences.
한국어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초등학교에서의 인공지능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현재 초등 학교 인공지능 교육은 주로 방과 후 활동이나 창의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주로 전문강사들이 담당하고 있 다. 이 연구는 이러한 전문강사들이 인공지능 수업을 진행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교수역량에 대한 교육적 요구를 분석하고자 하였 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 교육에 참여한 184명의 초등학교 전문강사로부터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 결과 인공지능 교수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보유도 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전문강사들은 인공지능 교육의 실습 지식에 중점 을 두고 있지만, 내용 지식 습득과 수업 실행 관련 역량 강화를 위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인공지능 교육의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해 전문강사들에게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육 프로그램과 지원 체계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 한다. 이를 통해 전문강사들이 초등학교에서 교사들을 지원하여 효과적으로 인공지능 교육을 수행하고, 초등학생들에게 보다 유익 한 학습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ABSTRACT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인공지능교육
2. 인공지능 교수역량
III.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도구
3. 자료 분석
IV. 연구 결과
1. 교수역량의 중요도와 보유도의 차이 분석
2. 교육요구도 분석
3. 세부 역량에 대한 IPA 분석
V. 논의 및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