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원양성과정의 실무연계성에 대한 교사 잠재프로파일 분석 : 영향요인 및 교사 효능감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nalysis of Teacher Profiles Based on the Practical Relevance of Initial Teacher Training Programs : Focusing on Influencing Factors and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 Efficacy

김나영, 우선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derive teacher profiles based on the practical relevance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profiles, teacher characteristics, and teacher efficacy. Using data from 2,418 teachers in the first year of the Seoul Teacher Longitudinal Study, a three-step Latent Profile Analysis (LPA) was conducte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areas of teaching-learning, student life guidance, career and college counseling, administrative tasks, and classroom management, the practical relevance profiles of teacher training program were divided into four types: 'Lowest Group' (20.0%), 'Highest Group' (8.5%), 'Above Average Group' (29.5%), and 'Below Average Group' (42.0%) . Second, the impact of teacher characteristics on the classification of practical relevance profiles revealed that elementary teachers, female teachers, those with extensive teaching experience, high intrinsic teaching motivation, high job satisfaction, and low burnout are more likely to belong to groups perceiving high practical relevance. Third, groups that perceived higher practical relevance in teacher training showed higher efficacy in teaching strategies, student life guidance, and motivation enhancement, confirming the critical role of field relevance in teacher training programs in fostering teacher efficac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implications for improving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developing teacher policies and training programs to enhance teacher efficacy.

한국어

본 연구는 교원양성과정의 교직 실무연계성에 대한 교사 인식을 바탕으로 잠재프로파일을 도출하고, 이러한 교사 프로파일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특성과 교사 효능감과의 관계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교원종단연구의 1차년도 교사 2,418명의 자료를 활용 하여 3단계 잠재프로파일 분석(LPA)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 학습, 학생생활지도, 진학·진로지도, 행정업무, 학급경영 영역에서 교원양성과정의 실무연계 성에 대한 잠재프로파일을 분석한 결과, ‘최저 집단(20.0%)’, ‘최상 집단(8.5%)’, ‘평균이상 집단 (29.5%)’, ‘평균이하 집단(42.0%)’의 네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교원양성과정의 실무연계성 잠재프로파일 분류를 예측하는 교사 특성 변수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초등교사, 여교사, 교 직경력이 많을수록, 내재적 교직동기와 교직만족도가 높고, 교사소진이 낮을수록 실무연계성 이 높은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원양성과정의 실무연계성을 높게 인식하 는 집단일수록 교수전략 효능감, 생활지도 효능감, 학습동기 부여 효능감이 높게 나타나, 교 원양성과정의 현장 적합성이 교사 효능감 함양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원양성과정을 개선하고 교사 효능감을 강화하기 위한 교원 정 책 및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한국 교원양성과정의 특징
2. 교원양성과정과 교사 효능감
Ⅲ. 연구방법
1. 연구자료 및 연구대상
2. 측정변수
3. 연구모형
4.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기술통계 분석결과
2. 교원양성과정의 실무연계성 프로파일 수 결정
3. 교원양성과정의 실무연계성 프로파일 특성 분석
4. 잠재프로파일 분류의 영향요인
5. 잠재프로파일별 교사 효능감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나영 Kim, Nayoung.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위원
  • 우선영 Woo, Sunyoung.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