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ends of research on educational leadership for 28 years from 1996 to 2023 using text mining analysis techniques, and searching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e researcher collected and analyzed 363 bibliographic information with KCI registration candidates or higher, academic journals, titles, subject words, and abstracts among domestic academic papers related to educational leadership published in the Academic Information Service (RIS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requency of keywords in the abstract was revealed in the order of teacher, school, leadership, research, and principal. Topic modeling was analyzed using the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LDA) method of the R program. The topic names were defined as writing the principal and vice principal leadership for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principal leadership for school culture formation, the principal leadership for teacher professional support, the principal and teacher leadership for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the principal and vice principal leadership for teacher empowerment, teacher leadership through revitalization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The educational leadership was demonstrated according to the members of the school organization, and the effect of education was achieved through interaction and cooperation. By synthesizing the above, this study presented implications for future educational guidance research.
한국어
본 연구는 텍스트마이닝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1996년부터 2023년까지 수행된 교육지도성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연구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학술정보서 비스(RISS)에 게재된 교육지도성 관련 국내 학술논문 중에서 KCI 등재 후보 이상, 학술지명, 제목, 주제어, 초록이 있는 363편의 서지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록의 키워 드 빈도는 교사, 학교, 리더십, 연구, 교장 등의 순으로 드러났다. 토픽모델링은 R 프로그램의 LDA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토픽명은 ‘학교조직효과성을 위한 교장, 교감지도성’, ‘학교문화 형성을 위한 교장지도성’, ‘교사의 전문성 지원을 위한 교장지도성’,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교장, 교사지도성’, ‘교사 임파워먼트를 위한 교장, 교감지도성’, ‘교사학습공동체 활성화를 통 한 교사지도성’으로 정의되었다. 교육지도성은 학교조직 구성원에 따라 발휘되고 상호작용과 협력으로 교육의 효과를 이루었다. 이상을 종합하여 향후 교육지도성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교육지도성 연구 동향
2. 텍스트마이닝 분석기법
Ⅲ. 연구 방법
1. 자료수집 및 분석 대상
2. 분석 방법 및 절차
Ⅳ. 연구 결과
1. 키워드 빈도분석
2. 논문초록 토픽모델링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