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The Impact of Job Anxiety Caus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Substitution on Organizational Members’Turnover Intention : The Mediating Role of Job Insecuri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Uncertainty

원문정보

인공지능 대체로 인한 직무불안이 조직구성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불안감의 매개효과와 직무불확실성의 조절효과

Zian Cheng, Xiu Jin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rtificial intelligence (AI) represents a significant technological leap within the hotel industry, promising to revolutionize various aspects of operations. However, its full impact remains uncertain, particularly its effect on the workforce. One notable consequence is the potential erosion of employees' expertise, which often leads to heightened levels of anxiety. As AI takes over tasks traditionally performed by humans, employees may feel sidelined or redundant, uncertain about their future within the organization. This anxiety, in turn, can catalyze turnover intentions, as employees grapple with uncertainties about their roles and career prospect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se dynamics, this paper aims to delve into the intricate relationship between AI adoption, job anxiety, job insecurity, job uncertainty, and turnover intention in the context of hotel employment. By examining how AI implementation influences employee well-being, this study seeks to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both industry practitioners and policymakers. Based on theories of anxiety and coping, this study constructs a comprehensive framework to assess the impact of AI implementation on employee well-being. Leveraging survey data from a diverse pool of 608 hotel employees, the research examines how organizational adoption of AI influences job anxiety levels and subsequent turnover intentions. The statistical analyses reveal compelling insights into the interplay between AI and employee turnover intentions. Key findings indicate that the introdu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deed shapes employees' intentions to leave their jobs. Notably, job anxiety induced by AI substitution emerges 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turnover intention, underscoring the psychological strain experienced by employees amidst technological advancements. Furthermore, the study unveils the mediating role of job insecurity, wherein heightened anxiety precipitates feelings of job instability, subsequently fueling turnover intentions. As AI continues to permeate the hotel industry, understanding and addressing these workforce dynamics will be crucial for maintaining employee morale and organizational stability in the face of technological change.

한국어

호텔 산업에서 인공 지능은 중요한 기술로 발전되었으며 호텔 운영에 있어서 다양한 측면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호텔 산업을 중심으로 인공지 능 영향력을 검증은 상대적으로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구서원의 심리적 요소 에 미치는 영향과 태도 및 행동 변수에 미치는 영향력 검증은 미흡하다. 일반적으로 인공지능의 긍정적인 역할과 영향력을 검증하는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긍정 적인 측면들이 강조되어 왔다. 그러나 인공지능이 전통적으로 구성원이 수행했던 작업 을 대체하게 되면서 구성원들로 하여금 조직 내에서 자신의 직업을 잃게 되는 우려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와 다르게 인공지능의 부정적인 측면을 제시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특히 구성원들의 심리적 불안감을 유발할 수 있고 심지어 이직의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인공지능 대체로 인한 직무불안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직무불안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 하였다. 더 나아가 인공지능 대체로 인한 직무불안감과 직무불안정성 간의 관계에서 직무불활실성의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 구에서는 중국 내 호텔에 종사하는 직원 60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실증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인공지능 대체로 인한 직무불안감이 구성 원의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공지능으로 인한 직 무대체 불안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직무불안정성의 유의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또한 직무불확실성이 인공지능 대체로 인한 직무불안감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직무불안정성의 매개효과를 긍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인공지능으로 인한 부정적인 측면을 검증하였으며 관련 연구영역을 확 장하였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를 통해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1. Job Anxiety Genera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Substitution
2. Turnover Intention
3. Job Insecurity
4. Job Uncertainty
Ⅲ. Research Methodology
1. Relationship between Job Anxiety Genera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Substitution and Turnover Intention
2.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Generated by AI Replacement and Job Insecurity
3. Relationship between Job Insecurity and Turnover Intention
4. Moderating Role of Job Uncertainty
5. Sample and Data
6. Measures
Ⅳ. Empirical Analysis
1.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2.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3. Hypothesis Testing
V. Conclusion
1. Theoretical Implications
2. Practical implication
4.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References
초록

저자정보

  • Zian Cheng 정자안. Ph.D candidate,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Gachon University
  • Xiu Jin 김수.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Gachon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