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nalysis of Educational Contents of Secondary Informatics Gifte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Korea
초록
영어
As the significance of informatics continues to grow, there has been a proliferation of gifted classes and university-affiliated gifted education centers aimed at early talent discovery and nurturing in this field. This study scrutinizes the educational content of informatics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for secondary students in South Korea, comparing it with the revised 2022 informatics curriculum, and offers suggestions for the formulation of a standardized secondary informatics gifted education program. Initially, the educational programs of these institutions were gathered from the Gifted Education Comprehensive Database (GED). Subsequently, weekly educational content was extracted and analyzed in line with the content structure of both middle and high school informatics in the revised 2022 curriculum. The study unveiled regional disparities in informatics gifted education and disclosed that educational programs differ in content and level across various institutions. It was also discovered that the gifted education programs lack a sequence within their curriculum and articulation with the regular Informatics curriculum, primarily focusing on accelerated learning. As a result, the study advocates for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informatics gifted education curriculum that articulates with the regular curriculum while maintaining its uniqueness.
한국어
정보 분야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정보 분야 인재의 조기 발굴 및 육성을 위해 영재학급 및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이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중등 정보 영재교육기관의 교육 내용을 2022 개정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분석하고, 표준화된 중등 정보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안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 하였다. 이를 위해 GED(영재교육종합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정보 영재교육기관의 운영 프로그램을 수 집하여 주차별 교육 내용을 추출하고,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정보 및 고등학교 정보의 내용 체계에 따라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정보 영재교육의 지역적 불균형을 확인하였으며, 영재교육기관별로 상이한 내용과 수준의 교육과정이 운영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영재 교육과정내의 계열성과 정규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이 확보되지 않은 속진 위주의 교육이 운영되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정보 영재교육의 개선을 위해 정규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고려하면서도 차별성을 반영한 표준화된 정보 영재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이론적 배경
1. 영재교육기관 및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의미
2.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1. 영재 운영 기초 현황 분석
2. 정보 영재교육 내용 분석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