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中国公共文化空间的沉浸式体验研究 : 以“中国大运河博物馆”为例

원문정보

Immersive Experience of Chinese Public Cultural Space : Focusing on the Grand Canal Museum of China

중국 공공문화공간의 이머시브 체험 연구 : 중국 대운하 박물관을 중심으로

왕이룬, 장혜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value of traditional culture through digital media from a global perspective, especially by using digital media in public cultural spaces, and to propose a plan to cultivate the traditional cultural content industry and popularize it. To this end, we first selected and collected representative museums that provide experiential interactive public digital traditional cultural content, and generally included the investigation content of the activation plan from three aspects: space, facilities, content, operation and strategy. Taking the Grand Canal Museum of China as an example, the immersive experience of contemporary public cultural space is studied in terms of spatial narrative and structure, cultural value, and new ways of experience; the design strategy of public cultural space is analyzed through storytelling and emotional resonance, spatial design and layout, immersive experience design, and public space utilization. This study brings enlightenment to public cultural space through the problems of improper crowd control, insufficient infrastructure, and poor service attitude revealed by the Grand Canal Museum of China. The China Grand Canal Museum demonstrates the feasibility of transitioning public cultural spaces to immersive experiences through thematic content planning and spatial design. Transforming public cultural spaces into immersive experiences should involve expanding physical spaces, integrating cultural elements, enhancing public services, and cultivating professional talents to increase vibrancy and social engagement. The dynamic combination of visitor flow routes, digital virtual technology in exhibition halls, interactive design, and immersive ancient market experiences represents new directions for transforming public cultural spaces in China.

중국어

本研究旨在通过全球视角的数字媒体提高传统文化价值,特别是利用公共文化空间中的 数字媒体,提出培养传统文化内容产业及大众化的方案。 为此,首先选定并收集提供体验型 互动的公共数字传统文化内容活用代表性事例博物馆, 大体上从空间⋅设施⋅内容⋅运营 和策略等三个方面包含活性化方案的考察内容。 以中国大运河博物馆为例, 以空间叙事 与结构, 文化价值, 新的体验方式等对当代公共文化空间的沉浸式体验进行研究;通过故 事叙述和情感共鸣, 空间设计和布局, 沉浸式体验设计, 公共空间利用对公共文化空间的 设计策略进行分析。 本研究通过中国大运河博物馆展露的人流控制不当, 基础设施不足, 服务态度差等问题对公共文化空间带来启示。 中国大运河博物馆通过主题内容计划和空间 设计两方面给出公共文化空间向沉浸式体验转型的可行性。 公共文化空间的沉浸式体验转 型应该从拓展物理空间, 文化跨界融合, 提升公共服务和培养专业人才入手, 提升公共文 化空间的活性和社会参与度。 中国大运河博物馆动态结合的参观动线, 应用数字虚拟技术 的展厅, 采用交互设计的展览, 以及融合古代市场体验的沉浸式体验是中国公共文化空间 转型的新方向。

한국어

본 연구는 글로벌 시각에서의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전통문화의 가치상승을 위해 특 히, 공공문화공간에서의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하여 전통문화 콘텐츠산업의 육성 및 대 중적으로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 제안을 목적으로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체험형 인터 랙티비티를 제공하는 공공 디지털 전통문화 콘텐츠 활용의 대표적 사례인 박물관, 미술 관 등의 전시 공간과 전시 콘텐츠 관련 자료를 우선 선정, 수집하여 크게 공간ㆍ시설, 콘텐츠, 운영 전략ㆍ정책 등 세 가지 측면에서 활성화 방안 고찰의 내용을 담고 있다. 중국 대운하 박물관을 위주로 공간의 이야기와 구조, 문화적 가치와 새로운 체험 방식 등을 통해 현대 공공문화공간에서의 이머시브 경험을 연구한다. 즉, 이야기 풀이와 정 서적 공감대 형성, 공간 디자인 배치, 이머시브 경험 디자인과 공공 공간 활용 측면에 서 공공문화공간의 디자인 전략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공공문화공간 조성 시 장소 가 치의 자산을 효율적으로 연계하고 방문객들과 주민들의 보행 이용 환경을 개선함으로 써 방문객 증대를 유도하여 공간의 활용성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 안할 수 있을 것이다. 중국 대운하 박물관 사례에서 드러난 관람객 유동량 통제 방식, 인프라, 서비스 부문 등의 한계점은 공공문화공간 디자인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중국 대운하 박물관은 지역 문화자원을 활용한 콘텐츠 개발과 공간 디자인의 두 가지 측면 을 통해 공공문화공간이 이머시브 체험으로 전환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는 사례이다. 공공문화공간의 이머시브 체험 전환은 물리적 공간의 확장, 문화적 융합, 공 공 서비스의 향상, 그리고 전문 인력 양성에서 출발하며, 이를 통해 공간 활성화와 관 람객 참여도를 높여야 한다. 중국 대운하박물관의 동적인 요소와 정적인 요소를 결합한 관람 동선, 디지털 가상 기술이 적용된 전시관, 인터랙티브 디자인이 도입된 전시, 그리 고 고대 시장 체험을 결합한 이머시브 체험은 중국 공공문화공간 전환의 새로운 방향 을 제시하였다.

목차

中文摘要
Ⅰ. 绪论
Ⅱ. 文献综述与概念阐述
1. 文献综述
2. 概念阐述
Ⅲ. 中国大运河博物馆的沉浸式体验研究
1. 大运河文化遗产价值阐述
2. 新型博物馆的多元化体验
Ⅳ. 公共文化空间的沉浸式体验设计策略
1. 故事叙述和情感共鸣
2. 空间设计和布局
3. 沉浸式体验设计
4. 公共空间的利用
Ⅴ. 结论
参考文献
Abstract
국문초록

저자정보

  • 왕이룬 Wang, Yilun. 국립안동대학교 문화산업연구소 연구원
  • 장혜원 Jang, Hyewon. 국립안동대학교 문화융합콘텐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