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유입시기에 따른 골프참여자들의 충성도, 참여동기, 참여제약, 여가참여만족 및 지속참여의도 차이 비교연구

원문정보

A Comparative Study of Golf Participants' Loyalty, Participation Motivation, Participation Constraints, Leisure Satisfaction,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Intentions by Time of Entry

김순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the loyalty, motivation, constraints, satisfaction, and continuous intentions of golf participants based on the time of influx. [Method] A total of 302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6.0 for basic demographic information,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urvey instrument, and an One-way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 The respondents were sub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timing of the coronavirus outbreak, and comparative analyses were conducted on the five variables. [Result] The results showed that respondents who participated in golf before the outbreak of the coronavirus had relatively high levels of loyalty, interpersonal motivation, and continuous intentions. On the other hand, respondents who joined golf after the outbreak of the coronavirus showed relatively high results in the social motivation and cost constraint factors. [Conclusion] In summary, the participation behavior of golfers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time of entry, and it seems that the golf industry, which has experienced a rapid quantitative expansion, needs to understand participants with different behaviors to maintain its current upward trend.

한국어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입시기에 따른 골프참여자들의 충성도, 동기, 제약, 만족, 그리고 지속의도를 비교 및 분 석하는 것이다. [방법] 수집된 총 302부의 설문지는 SPSS 26.0 version을 통해 기본적인 인구사회학적 정보, 조사도 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그리고 일원다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 응답자들은 코로나 바이러스 창궐을 시기 를 기준으로 2개의 그룹으로 세분화 되었으며, 5개의 변수에 대한 비교분석이 실시되었다. [결과] 결과적으로 코로나 바이러스 창궐 이전부터 골프에 참여했던 응답자들의 경우 상대적으로 충성도, 대인적 참여동기 그리고 지속적 참여 의도 요인에서 높은 수치를 보였다. 반면에 코로나 바이러스 창궐 이후에 골프에 유입된 응답자들의 경우 사회적 참 여동기와 참여비용제약 요인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결론] 유입 시기에 따라 골프참여자들의 여가참 여 행동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급격한 양적 확장을 이루어낸 골프산업이 현재의 상승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행동을 보이는 참여자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연구방법
1. 자료수집과 설문응답자
2. 조사도구(Instrument)
3. 조사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
결과
1. 상관관계 분석
2. 일원다변량 분산분석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순영 Kim, Soon-Young. 가천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