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수학 문제해결 과정에서 초등학생의 연결 역량 측정

원문정보

Analysis of Connection Competency of Elementary Students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Process

이예진, 임미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stablished an evaluation framework for connections addressed in the curriculum and developed a tool to measure connection competency in terms of both mathematical internal and external connections. For internal connections, which include links between content domains and grade levels, categories such as comprehension and application were considered. For external connections, which involve links to other subjects and real life, categories included interpretation, application, and usefulness. The study resulted in the development of 12 items as a measurement tool for connection competency, which was then applied to 6th-grade elementary students. The results identified four levels of connection groups.disconnected, partially connected, mostly connected, and completely connected.along with 36 connection types. This study concludes that to enhance students' mathematical connection skills, it is essential to implement learning that is based on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concepts, meaningful application of these concepts through problem-solving learning, mathematical modeling lessons, and learning that considers the affective aspects of mathematics. Additional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student-tailored instruction that fits the type of connection.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연결 역량에 대한 평가 관점을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연결 역량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연결 역량 평가 관 점으로는 수학 내적 연결 중 학년 간 연결, 내용 영역 간 연결 범주의 이해와 적용 영역, 수학 외적 연결 중 타 교과와의 연결, 실생활과의 연결 범주의 해석, 적용, 유용성 영역이 있다. 선행 연구를 토대로 12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연결 역량 측정 도구를 개발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용한 결과, Disconnected, Partially connected, Mostly connected, Completely connected의 4개 집단, 36개 연 결 유형으로 범주화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수학 문제해결 시 학생들의 연결 역량 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개념의 연결 관계에 기반한 학습, 개념의 유의미한 적용이 가능한 문제해결학습, 수학적 모델링 및 수학에 대한 정의적 측면이 고려된 학습이 이루어져야 하며 연결 유형에 적합한 학생 맞춤형 지도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 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수학과 교육과정에서의 연결 역량
2. 수학적 연결 역량 측정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및 연구 절차
2. 연결 역량의 측정 관점 및 내용 구성
3. 측정 도구 개발
4. 자료 분석 방법
Ⅳ. 연구 결과
1. 연결 집단별 특징 분석
2. 연결 유형별 특징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예진 Lee Ye-Jin. 서울잠전초등학교, 교사
  • 임미인 Lim Miin. 서울교육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