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려인 중도입국 청년의 내러티브를 통한 사회 적응과 정체성 형성 연구

원문정보

A Narrative Study of Koryoin Immigrant Youth’s Social Adaptation and Identity Formation

정유진, 유수빈, 서은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d how Koryoin (a.k.a. ethnic Koreans residing in the post-Soviet states) immigrant youth navigate social adaptation and identity formation in a Korean society. A theoretical framework guided by the life course theory allowed holistic and in-depth analyses of pre- and post-immigrant experiences and multiple levels of ecological factors influencing the process of social adaptation identity formation. Our research participant was a female youth who had immigrated to South Korea as a young adolescent. To explore the longitudinal dynamic interactions of individual, family, school, and community factors, we conducted a narrative analysis of a life story collected by semi-structured interviews. Study findings showed that the Koryoin immigrant youth had faced social discrimination in both countries of Russia and Korea, which meant denied national and ethnic identities. However, individual efforts, support from family, peers, and teachers, and participation in the religious community have worked for her personal growth. She finally reported a successful adjustment to Korean society. This study also suggested a hybridity of identities achieved from her various experiences as a Koryoin while overcoming immigration life challenges. The study findings can contribute to helping the group of Koryoin immigrant youth b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a strength and resilience-focused approach to encourage positive development among them.

한국어

본 연구는 중도입국한 고려인 청년의 한국사회 적응 경험과 정체성 형성과정을 생애 과정론적 접근을 적용해 포괄적이고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인 고 려인 3세 중도입국 청년의 이주 전후의 경험과 사회적응을 둘러싼 다층적인 생태환경 적 요인들의 동학을 통시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 반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내러티브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내러티브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청소년기의 개인적 측 면, 가정환경, 사회적 네트워크 관계가 갖는 의미와 정체성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여, 다 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러시아와 한국에서 모두 차별을 경 험하면서 각각 자신의 국가적, 민족적 정체성이 부정당하는 경험을 하였다. 하지만, 개 인적인 노력과 가족과의 유대, 한국인 또래와 교사의 지지, 그리고 종교공동체 참여에 서 얻어진 긍정적인 경험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연구 참여자의 성공적인 사회적응과 정 체성 형성에 기여하였다. 한국에서의 적응과정이 담긴 도전과 극복의 내러티브는 중도 입국 고려인 청년의 혼성적 정체성이 다양한 사회문화적 경험을 통해 발전되고 재형성 되는 것임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중도입국으로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정체성 혼란을 겪을 수 있는 고려인 청소년이 자신의 고유성을 인식하고 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 기회 를 제공받을 수 있다면 스스로의 강점과 회복탄력성을 발휘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 여 주는 연구로서 함의를 가진다고 하겠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Ⅱ. 문헌고찰
1. 이론적 틀: 이주민에 대한 생애과정적 접근
2. 고려인 중도입국 청소년의 유형과 특성
3. 중도입국 청소년의 사회적응과 정체성
Ⅲ. 연구 방법
1. 내러티브 탐구
2. 연구 참여자 선정과 자료 수집
3. 자료 분석
Ⅳ. 연구 결과
1. 차별받는 정체성을 넘어서
2. 낯설지만 친근한 한국 사회
3. 한국에서 고려인으로 살아가기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정유진 Jung, Yu-Jin. 동국대학교 대학원 국제다문화학과 석박사통합과정 수료
  • 유수빈 You, Soobin. 동국대학교 이주다문화통합연구소 연구초빙교수
  • 서은숙 Seo, Eun-Sook. 동국대학교 다르마칼리지/국제다문화학과(협동) 교수, 이주다문화통합연구소 소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