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Exploring Ways to Apply Design Thinking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Practical Arts National Curriculum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 elements presented in the 2022 revised practical arts national curriculum and explore strategies and directions in which problem-solving methods using design thinking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this end, we investigated the composition of learning materials that can apply design thinking in the 2022 revised practical arts national curriculum and explored effective ways to apply design thinking problem-solving methods using the developed learning materials. Learning materials must present real-life problem situations,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stages of design thinking and the activities at each stage, and be designed to enable team-based learning activities so that the human-centered design thinking philosophy can be internalized. Effective application methods include securing the number of hours through curriculum reorganization, providing opportunities for prior learning about design thinking, using techniques appropriate for the problem-solving stage, and emphasizing the mindset of design thinking.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basic data for writing textbooks developed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한국어
이 연구는 개정된 2022 실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 요소를 분석하여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문제해 결 방법이 교육과정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전략과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2022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서 디자인씽킹을 적용할 수 있는 학습자료의 구성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개발된 학습자료를 활용한 디자인씽킹 문제해결방법의 효과적인 적용방안은 무엇인지 탐색 해보았다. 먼저, 2022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5개 영역, 총 39개의 성취기준 중에서 문제 해 결과 관련된 내용이거나 성취기준 해설에서 문제 해결에 대한 방안을 제시한 9개의 성취기준을 대상으 로 학습주제를 개발하였다. 이 중 한 개의 학습주제에 대하여 학생용 워크시트를 개발하고 전문가 검 토 의견을 반영하여 학습자료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자료는 C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발명 수업 대상자 20명을 대상으로 시범 적용하였으며, 연구자의 수업일지, 학생들의 참여 과정 관찰, 학생 인터뷰 분석 등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적용 방안을 탐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학습자료는 실생활 속 문제상황을 제시해야 하며, 디자인씽킹의 단계와 각 단계별 활동내용이 자세 하게 안내되고 팀 기반 학습활동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인간중심의 디자인씽킹 철학을 내재화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효과적인 적용 방안으로는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시수 확보, 디자인씽킹에 대한 사전 학습의 기회 제공, 문제해결 단계에 맞는 기법 활용, 디자인씽킹의 마인드셋 강조 등을 들 수 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되는 교과서 집필에도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문제
Ⅱ. 연구 방법
1. 문헌고찰
2. 학습주제 개발 및 전문가 숙의
3. 학습자료 개발 및 전문가 검토
4. 시범 적용에 따른 최종 학습자료 개발
Ⅲ. 문헌고찰
1. 2022 개정 실과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2. 문제 해결과 관련된 성취기준
3.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문제해결과정
Ⅳ. 디자인씽킹 문제해결과정 적용 방안 탐색
1. 디자인씽킹 문제해결과정 적용 가능한 학습주제 개발
2.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실과 문제해결 학습자료 개발
3. 학습자료의 개선 사항 반영
4. 디자인씽킹을 활용한 문제해결과정 적용 방안 탐색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