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보건

MZ세대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대인관계유능성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Mediating Effect of Empath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Skill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MZ Generation Nursing Students

김양신, 이재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skill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MZ generation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9 nursing students born in 1981 to 2006, corresponding to the MZ generation, and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May 20 to July 30, 2023.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and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y was tested by Baron and Kenny's three-step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procedure, and Sobel test was conducted to tes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ommunication skills (β=.45, p<.001) and empathy (β=.18, p=.008)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se variables were found to have 48.4% explanatory power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 Empath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z=2.39, p=.016)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skill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Z generation familiar with the non-face-to-face culture that will be in charge of future nursing and to develop effective programs to improve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한국어

MZ세대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대인관계유능성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 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MZ세대에 해당되는 1981년에서 2006년생 간호대학생 129명이며, 자료수집 기간은 2023년 5월 20일부터 7월 30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program으로 분석하였으며,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는 Baron과 Kenny의 3단계 매개효과 검증 절차를 밟았고,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대인관계유능성에 의사소통능력(β=.45, p<.001)과 공감능력(β=.18, p=.008)이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 이들 변수는 대 인관계유능성에 대해 48.4%의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사소통능력과 대인관계유능성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은 부분매개효과(z=2.39, p =.016)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미래의 간호를 담당하게 될 비대면 문화에 익숙한 MZ세대의 특성에 대한 이해와 함께 이들의 대인관계유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효성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 설계
2.2 연구 대상
2.3 연구도구
2.4 자료수집 방법
2.5 자료분석 방법
2.6 윤리적 고려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공감능력과 대인관계유능성의 차이
3.2 대상자의 의사소통능력과 공감능력 및 대인관계유능성의 정도
3.3 대상자의 의사소통능력과 공감능력 및 대인관계유능성과의 관계
3.4 대상자의 의사소통능력과 대인관계유능성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양신 Yang-Sin Kim. 대전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부교수
  • 이재숙 Jae-Sook Lee. 문경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