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IT 경영 및 정책

B2B 중심의 기술 산업 기업의 수익성 성과를 위한 RFM-T 모형 실증 연구

원문정보

An empirical study on RFM-T model for market performance of B2B-based Technology Industry Companies

우미영, 김영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ue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dustry is becoming more important and sophisticated than ever. In B2B based ICT industry demand forecasting by analyzing the previous customer data is so important. RFM, one of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models is a marketing technique that evaluates Recency, Frequency and Monetary value to predict customers behavior. RFM model has been studied focusing on the B2C based industry.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B2B based technology industry. Therefore this study applied it to B2B based high technology industry and considered T(technology collaboration) value, which are identified as important factors in the technology industry. To present an improved model for market performance in B2B technology industry,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on comparing the accuracy of the traditional RFM model and the improved RFM-T model.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market performance by presenting an improved model in B2B based high technology industry.

한국어

4차 산업 혁명으로 인한 정보통신기술(ICT) 부품 제조 산업은 고도화되고 사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B2B 사업 방식의 ICT 부품 사업은 한정된 주요 고객에 대한 과거 구매 활동 데이터 기반, 고객 관계 관리를 통하여 고객사별 정확한 수요 예측 활동은 중요한 마케팅 전략이다. 고객 관계 관리 방법에서의 RFM 모형은 고객의 거래 최근성, 거래 빈도, 거래 규모 데이터를 바탕으로 고객을 세분화하는 마케팅 데이터 분석 방법이지만, 대부분 RFM 모형 선행 연구는 B2C 소비재 산업 중심으로 진행되었고, B2B 기술 산업군 대상으로 한 연구가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RFM 모형을 B2B 사업 중심의 ICT 부품 제조 산업에 적용하여 실증 분석하고, 첨단 기술 산업군에 적합한 발전된 모형을 제시하고자 기술 산업에서 중요 요인으로 파악되는 T(기술 협업) 추가 변수를 발굴하여 기존 RFM 모형과 개선된 RFM-T 모형의 정확도를 실증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B2B 기술 산업군의 실무적 마케팅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 자료 로 활용될 수 있는 발전된 RFM-T 모형을 제시하여 기업 성과에 기여 하고자 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RFM 모형 개념 및 선행 연구
2. 기업 간의 기술 협업 개요 및 선행 연구
Ⅲ. 연구 방법(Methodology)
1. 연구 모형
2.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 도구의 구성
3. 분석 방법
Ⅳ. 실험 및 결과
Ⅴ.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우미영 Miyoung Woo. 정회원, 고려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기술경영학과
  • 김영준 Young-Jun Kim. 정회원, 고려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기술경영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