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ORIGINAL ARTICLE

변혁적 역량 함양을 위한 2022 개정 고등학교 과학과 지구과학 교육과정 개발 성과 탐색

원문정보

Exploring Development Achievement of the 2022 Revised High School Earth Science Curriculum to Cultivate Transformative Competency

곽영순, 김종희, 김현종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and progress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development in the high school earth science field. Research that was not covered in the research report includes the relevance of the transformative competency of OECD Education 2030, and that core ideas and achievement standards are organized around knowledge understanding, process functions, and value attitudes that constitute the learning compass needle. In addition, the composition of core ideas and Earth science electives in light of the understanding-centered curriculum, and IB type inquiry-based teaching and learning. Main research results include that the 2022 revised Earth science curriculum emphasized the student agency to foster the transformative competency and scientific literacy, and the curriculum document system in the field of earth science uses a learning compass needle. In addition, based on the understanding-centered curriculum, core ideas of Earth science were derived, and elective courses were organized to help students reach these core ideas. Also, IB-type inquiry-based teaching and learning was emphasized to foster student agency with knowledge construction competenc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limming of the national and general level curriculum, the need to develop process-centered assessment methods for value and attitudes, the need for curriculum backward design, and ways to develop student agency through inquiry-based teaching and learning were suggested.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개발 과 정에서 고등학교 지구과학 TF팀에서 수행한 고등학교 지구과학 분야의 2022 개정 교육과정 개발의 철학적 배경과 성과 등을 탐색하였다. 연구보고서에서 다루지 못한 연구로, OECD Education 2030의 변혁적 역량과 지구과학 분야 교육과정 문서 체제의 관련성, 이해중 심 교육과정에 비추어 본 지구과학 분야의 핵심 아이 디어 구성과 선택과목 구성, 지구과학 분야의 탐구 기 반 교수학습의 특징 등을 탐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 를 살펴보면, 지구과학 분야를 포함하여 2022 개정 과 학과 교육과정에서는 OECD Education 2030의 변혁적 역량과 과학소양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학생과 교사의 행위주체성(agency)을 강조하였으며, 지구과학 분야 교 육과정 문서 체제에서는 학습 나침반 바늘을 구성하는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를 중심으로 핵심 아 이디어와 성취기준을 구성하였다. 이해중심 교육과정 에 근거하여 지구과학 분야의 핵심 아이디어를 도출하 고, 지구과학 분야의 핵심 아이디어에 도달할 수 있도 록 선택과목별 특성에 맞추어 과목별 영역과 지식・이 해 내용요소를 구성하였다. 또한, 지식 생산 역량을 갖 춘 학생 행위주체 육성을 위해 과학과 과정・기능에 부 합하는 IB형 탐구 기반 교수학습을 강조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국가 수준 그리고 총론 수준에서 교육 과정 대강화의 필요성, 가치・태도에 대한 과정중심 평 가 방안 개발보급, 및 백워드 설계 형태의 교육과정 개발의 필요성, 과학과 탐구의 과정・기능에 입각한 탐구 기반 교수학습을 통한 학생 행위주체의 과학 역량 함 양 방안 등을 결론으로 제언하였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1. OECD Education 2030의 변혁적 역량과 과학과 문서 체제
2. 이해중심 교육과정과 지구과학 분야의 핵심아이디어 구성
3. 지구과학 분야 선택과목 구성과 과목별 내용구성
4. 지구과학 교육과정의 교수학습과 평가
Ⅳ. 결론 및 제언
국문요약
References

저자정보

  • 곽영순 Youngsun Kwak. 한국교원대학교 교수
  • 김종희 Jong-Hee Kim. 전남대학교 교수
  • 김현종 Hyunjong Kim. 경기과학고등학교 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