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Impact of School Autonomy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Teacher Efficacy - Case of National and Public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South Korea -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chool autonomy,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operational principles among recent efforts to improve school education and improve quality,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efficacy.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teaching profession by utilizing TALIS 2018 teacher questionnaires, and evaluate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degree of autonomy in their school by examining functional autonomy among school autonomy proposed by Park and Jeong (2020).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examining the four areas of curriculum, student life, personnel management, and budge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l four components of school autonomy (curriculum, student life, personnel, and budget)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eachers’ job satisfaction. Second, the three components of school autonomy (curriculum, student life, and budget)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eachers efficacy. In other words, this means that teachers’ perception of the overall execution of school autonomy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effic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grounds to reaffirm the importance of practicing school autonomy in terms of not only the direction of education reform or the macro level of improving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but also that it can b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job improvement of school teacher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의 학교교육 개선과 질 제고를 위한 노력 중 가장 중요한 운영 원리 중 하나인 학교자치가 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교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TALIS 2018 교사 문항을 활용하여 교사의 교직 특성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 으며 재직하는 학교의 자치 정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박수정과 정바울(2020)이 제안한 학교자치 중 기능적 자치에 해당하는 교육과정, 학생생활, 인사, 예산 네 가지 영역을 조사하여 중다회귀분 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교자치의 네 가지 구성요소인 교육과정, 학생생활, 인사, 예 산 모두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학교자치의 세 가지 구성 요소인 교육과정, 학생생활, 예산이 교사의 교직효능감과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즉, 학교자치의 전반적 실행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교직효능감과 긍정적인 관계 가 있다는 점을 확인한 것이다. 이상 연구 결과는 학교자치의 실천이 교육개혁의 방향성 혹은 학교교육의 질 개선이라는 거시적인 차원뿐만 아니라 단위학교 교원의 직무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요인 이 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그 중요성을 다시금 확인하는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