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장년층의 경력몰입, 고용가능성, 경력만족, 삶의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

원문정보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areer Commitment, Employability, Career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Middle-Aged People

이종찬, 김민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employment of middle-aged people is becoming very important due to the rapid aging of the population in Korea, the poverty rate of the elderly, and the suicide rate of the elder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commitment, employability, career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reemployment and career development among middle-aged adults. For this purpose, stratified cluster sampling, which is a probability sampling of the population, was conducted, and descriptive statistics, norma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model analysis, and mediation effect analysis were conducted on 233 middle-aged adults aged 45 to 59 to deter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research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career commit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employability; second, career commit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career satisfaction. Third, career commit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Fourth, employability has a positive effect on career satisfaction. Fifth, employability has a positive effect on career satisfaction. Sixth, employability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commitment, career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Summarizing these research results, due to the rapid aging problem in Korea,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national efforts are needed to help middle-aged people find re-employment after retirement. 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employability can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commitment, career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It would be very desirable on a personal and national level if they could faithfully carry out their current work experience, increase their competitiveness, and get re-employed based on the experience they have accumulated.

한국어

우리나라의 급격한 고령화와 노인빈곤율, 노인자살률 문제로 중장년층의 재취업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재취업과 경력개발 관점에서 경력몰입, 고용가능성, 경력 만족, 삶의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모집단의 확률표집인 층화군집비율 표 집을 실시하여 만 45~59세 중장년층 233명을 대상으로 기술통계 및 정규성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 조모형 분석, 매개효과 분석 등을 실시하여 연구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경력몰입은 고용가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력몰 입은 경력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경력몰입은 삶의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넷째, 고용가능성은 경력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다섯째, 고용가능성은 경력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섯째, 고용가 능성은 경력몰입과 경력만족, 삶의만족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우리나라의 급속한 고령화 문제로 중장년층의 퇴직 이후에 재취업을 할 수 있는 개인적, 조직적, 국가적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경력몰입과 경력만족, 삶의만족 간의 관계에 서 고용가능성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현재의 직업과 직장에서 경력몰입을 함 으로써 고용가능성을 높이고 이를 통해 현재 경력에 만족하고 나아가 삶의 전반에 만족도가 높아지는 선순환을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누구나 생애 주된 일자리에서 퇴직을 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현직의 경력을 충실히 수행하고 경쟁력을 높여서 본인이 쌓아 온 경력을 바탕으로 재취업을 할 수 있도록 지 원한다면 고령화 사회에 개인적, 국가적 차원에서 매우 바람직한 일이 될 것이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II.
2.1 중장년층 경력
2.2 경력몰입
2.3 고용가능성
2.4 경력만족
2.5. 삶의 만족
2.6 연구변인들 간의 관계
III.
3.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3.2 측정도구 및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4.1 기술통계 및 정규성 분석
4.2 측정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
4.3 구조모형 분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이종찬 Jong-Chan Lee. 한국취업진로교육원 전문교수
  • 김민규 Min-Gyu Kim. 한국고용노동교육원 선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