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Relationship Structure Between Creative Thinking, Gri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and Implications for the High School Curriculum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relationship structure between creative thinking, gri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to discover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Data of 211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 (109 males and 102 females) from Jeollanam-do general high schools were analyzed. The data analysis methods included a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model, mediating effect, and multi-group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among creative thinking styles, the progressive thinking style ha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academic achievement and had a higher correlation with ‘perseverance of effort’ than ‘consistency of interest’. Next, the creative thinking style was a variable that directly influenced grit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perseverance of effort’ of grit had an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whereas ‘consistency of interest’ did not affect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thinking style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mediating effect of ‘perseverance of effort’ among gr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for high school curriculum were discussed.
한국어
연구의 목적은 일반 고등학교 학생의 창의적 사고양식, 그릿, 학업성취의 관계 구조를 확인하고 그릿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전남 일반고 2학년 재학생 중 희망하는 211명(남 109명, 여 102명)의 자료를 분 석했다. 분석방법은 상관분석, 구조모형, 매개효과를 실시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창의적 사고양식 중에서 진보적 사고양식이 학업성취와 가장 상관관계가 높으며, 흥미유지보다 노력지속과의 상관이 더 높았다. 다음으로, 창의적 사고양식은 그릿과 학업성취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고, 그릿의 노력지속은 학업 성취에 영향을 미쳤으나 흥미유지는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또한, 창의적 사고양식과 학업성취의 관 계에서 그릿 중 노력지속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 육과정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창의적 사고양식과 학업성취
2.2 그릿과 학업성취
2.3 창의적 사고양식과 그릿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3.2 연구도구
3.3 분석방법
4. 연구결과
4.1 연구변인의 기술통계
4.2 창의적 사고양식, 그릿, 학업성취 간의 관계 검증 결과
5. 논의 및 교육과정 시사점
6.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