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심리적 자본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상사지원의 조절효과

원문정보

The Moderating effect of Supervisor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satisfaction

강권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satisfac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upervisor support as a job environment factor because the psychological capital related to the job performance of organizational members differs depending on the perception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job situation, and the competitiveness of a company will be determined by whether to secure, utilize, and maintain competent human resour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we want to analyze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capital perceived by organization members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their jobs and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satisfaction, and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supervisor support recognized as a job environment factor for organization memb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their job satisfaction. [Methodolog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study selected a field research method. For empirical analysis, data for research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and the research subjects as samples of this study were targeted at workers in companies. [Findings]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of this study. First, the self-esteem and optimism that make up the psychological capital of organization members affect job satisfaction. Second,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plays a role as a control variable in the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satisfaction of organization members, and its influence is different in self-esteem and optimism. [Implications]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satisfaction of organizational members was presented in a situation where the importance of human capital has recently been emphasized. In addition, by specifying these influences according to job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useful basic data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d operating policies and strategies for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variables related to the psychological capital of organizational members.

한국어

[연구목적]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들의 직무수행과 관련한 심리적 자본은 직무상황과 관련한 인지와 개인적 특성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며, 기업의 경쟁력은 유능한 인적자원을 확보하고, 활용하고, 유지할 것인가에 의 하여 결정될 것이므로 심리적 자본과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직무환경 요인으로서 상사지원의 조절효 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구성원이 직무 수행 과정에서 지각하는 심리적 자본의 중요성과 심리적 자본의 직무만족에 미 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 둘째, 심리적 자본과 이들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조직구성원의 직무환경 요인으 로서 인식된 상사지원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현장연구 방법을 선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설문 지를 이용하여 연구를 위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본 연구의 표본이 되는 연구대상은 기업체의 근로자를 대상으 로 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자본을 구성하고 있는 자아존중감과 낙천성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둘째, 인식된 상사 지원은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자본과 직무만족에서 조절변수로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그 영향력은 자아존중감과 낙천성에서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인적자본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심리적 자본의 조직구 성원들의 직무만족 대한 영향력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들 영향력을 직무특성에 따라 구체화함으로서 본 연구의 결과는 조직구성원들의 심리적 자본과 관련된 조직특성변수에 대한 정책 및 전략을 수립하고 운영하는 과정에 서 유용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 국문요약 >
Ⅰ.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Ⅱ. 이론적 배경
2.1 심리적 자본
2.2 직무만족
2.3 인식된 상사지원
Ⅲ. 연구의 설계
3.1 연구모형과 가설의 설정
Ⅳ. 실증분석 결과
4.1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4.2 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
4.3 가설 검증
Ⅴ. 결론
5.1 검증결과 분석
5.2 연구의 한계점
참고문헌

저자정보

  • 강권석 Kang, Kwun Sug. 박사과정, 남서울대학교 경영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