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Effect of Memorable Tourism Experience on Visitor's Behavior Intention - Focused on Rural Experience Village in Jeju Island -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destination image, tourist engagement, and authenticity influence Memorable Tourism Experiences(MTE), and whether MTE affects tourists' behavioral intentions. Additionally,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estination image, tourist engagement, and authenticity on tourists' behavioral intentions. Conducted among domestic tourists who experienced rural tourism in Jeju Island, the survey included 301 participants for empirical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5.0 revealed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destination image, authenticity, and various types of experiences such as refreshment, novelty, meaningfulness, hedonism, and local cultural experiences. Furthermore, refreshment, novelty, hedonism, and local cultural experi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of revisit intention and eWOM intention effect. The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creating engaging and authentic experiences for visitors to rural tourism villages in Jeju Island, along with the necessity of marketing strategies focusing on positioning and branding the village image once an appropriate market size is established in the long run.
한국어
본 본 연구의 목적은 목적지 이미지, 방문객 인게이지먼트, 진정성이 기억에 남을만한 관광경험(MTE)에 영향을 미치는지, 기억에 남을만한 관광경험이 관광객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목적지 이미지, 방문객 인게이지먼트, 진정성이 관광객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제주도 농촌마을에서 관광체험을 한 내국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01부가 실증분석에 사용되었다.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각 요인과의 인과관계를 규명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목적지 이미지, 진정성은 회복경험, 참신성 경험, 의미 경험, 쾌락주의 경험, 지역문화 경험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회복, 참신성, 쾌락주 의, 지역문화 경험은 재방문의도와 온라인구전효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또한 방문객 인게이지먼트, 진정성은 재방문의도와 온라인구전효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음을 증명하였다. 제주지역의 농촌체험마을 발전을 위해 방문객의 인게이지먼트와 진정성있 는 경험을 창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적정 시장규모가 형성되었을 때 해당마을에 대한 이미지를 포지셔닝하고 브랜딩 해나가는 마케팅 관점도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농촌관광목적지 관련(목적지 이미지, 진정성, 관광객 행동의도)
2.2 기억에 남을만한 관광경험(Memorable Tourism Experiences)
2.3 관광객 행동의도(재방문 의도, 온라인 구전의도)
Ⅲ. 연구방법
3.1 연구모형
3.2 연구가설
3.3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도구
Ⅳ. 실증분석
4.1 인구통계학적 현황
4.2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
4.3 상관관계분석
4.4 가설검증을 위한 회귀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국문 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