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생활 스포츠편 : 인문사회과학영역

지역 스포츠이벤트 만족도, 도시재생성과, 재방문의도와의 구조적 관계 : 아시안컵 보령국제요트대회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ocal Sport Event Satisfaction, Urban Regeneration Performance and Revisit Intention: Focusing on the Asian Cup Boryeong International Sailing Championship

문선호, 김종백, 이재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local sports events, urban regeneration performance (social and cultural, economic performance), and revisit intention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510 people who attended and experienced the Asian Cup International Sailing Competition held in City B. The main conclusions fro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atisfaction with local sports events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revisit intention. Second, satisfaction with local sports events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 on social and cultural outcomes among urban regeneration outcomes. Third, satisfaction with local sports events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 on economic performance during urban regeneration. Fourth, among the urban regeneration outcomes, social and cultural outcomes did not appear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revisit intention. Lastly, among urban regeneration outcomes, economic performance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 on revisit intention.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 스포츠이벤트 만족도, 도시재생성과(사회문화적, 경제적성과)와 재방문의도에 관한 구조 적 관계를 실증적 분석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B시에서 개최된 아시안컵 국제요트대회에 관람 및 체험 참여자 5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도출된 연구 결과를 통한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 스포츠이벤트 만족도가 재방문 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 스포츠이벤트 만족도가 도시재생 성과 중 사회문화적 성과에 통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 스포츠이벤트 만족도가 도시재생 성과 중 경제적 성과에 통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도시재생 성과 중 사회문화적 성과는 재방문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도시재생 성과 중 경제적 성과는 재방문의도에 통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가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조사 도구
3. 조사 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4. 자료처리
Ⅲ. 연구 결과
1. 연구모형의 적합도
2. 구조모형분석 및 가설 검증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문선호 Mun, SunHo. 단국대학교, 초빙교수
  • 김종백 Kim, Jong Back. 동의대학교, 교수
  • 이재빈 Lee, Jae-Bin. 동의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