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 논문

문학교육에서의 해석 교육 내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 해석의 개념과 목적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Reconsideration of educational content of literature interpretation

정정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urrent interpretation education content in literature education and, based on this review, discuss the concept of interpretation and the purpose of interpretation in literature education. As a result of review of standards and analysis of textbooks, the content of current interpretation education focuses on meta-methodological knowledge related to the performance of interpretation. This needs to be reconsidered in that it does not result in literary experience. Through this critical review, this study deemed it necessary to clarify the concept and purpose of interpretation in literature education. In literature education, since the object of interpretation is a literary text, the goal should not be the interpretation activity itself, but rather the comprehension of the literary text itself.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defined interpretation in literary education as a process of fully understanding literary works through the process of actively constructing the meaning of literary texts based on knowledge of literary conventions. And it was discussed that a complete understanding as the purpose of interpretation of a literary text is an appropriation of the meaning of the literary text. Based on these discussions, I emphasized that literary theory, as the basic knowledge that enables interpretation in literary education, should be utilized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activities that end up 'understanding' literature. Considering this, it was also emphasized that the literary text in education must be a work of high literary perfection.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문학교육에서의 해석 교육 내용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학교 육에서의 해석의 개념 및 해석의 목적을 논의하는 것이다. 현재 해석 교육 내용을 검토하기 위해 문학 영역에서의 해석 활동 관련 성취기준을 먼저 살펴본 후,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제 시된 해당 성취기준의 교과서 내용을 분석하였다. 성취기준 검토 및 교과서 분석 결과 현재 해석 교육의 내용은 해석의 방법 및 해석의 타당성 조건 등 해석의 수행과 관련한 메타적이고 방법적인 지식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는 문학 경험으로 귀결되지 않는 구조라는 점에서 재 고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이 연구에서는 문학교육에서의 해석의 개념 및 목적을 명료하 게 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문학교육에서 해석은 그 대상이 문학 텍스트라는 점에서 해석 활동 자체가 목적이 아닌 문학 텍스트에 대한 이해 자체가 목적이 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 에서 문학교육에서의 해석을, 문학적 관습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문학 텍스트의 의미를 능 동적으로 구축하는 과정을 통해 문학 작품을 온전히 이해하는 과정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문학 텍스트에 대한 해석의 목적으로서의 온전한 이해는 문학 텍스트의 의미에 대한 전유라 는 점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문학교육에서 해석 행위를 가능하게 하는 기반 지식으로서의 문 학 이론이 개념적 지식 자체로 다뤄지는 것이 아니라 해석 활동을 위한 과정에서 활용되어야 한다는 점, 그리고 해석의 도달점으로서의 ‘이해’의 의미를 고려할 때, 해당 문학 텍스트는 문 학적 완성도가 높은 작품이어야 한다는 점을 함께 강조하였다.

목차

국문요약
1. 문제 제기
2. 문학 교육과정에서의 해석 관련 성취기준과 교과서 내용
3. 문학교육에서의 해석의 개념과 목적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정순 Jung, Jung-Soon. 영남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