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다윗의 삶 속에 비친 이야기 정체성

원문정보

Narrative Identity Reflected in David’s Life

최사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divided David's life into adolescence, youth, middle age, and old age according to Erikson's developmental stages, and attempted to reflect on the process of how David formed his narrative identity through each developmental stage. In particular, this study looked at how David's narrative identity is related to the image of David singing in the Psalms. In his youth, David was an insignificant and small shepherd, but through God's anointing, he confirmed and formed his identity as a child of God, a covenant people, and the king of Israel. This identity of David became the basis for his trust and loyalty to God until the end when he was being chased by Saul and was living in the wilderness. Also, this aspect of him is depicted in Psalms 57 as a narrative identity in which he praises and speaks to God even during suffering. But when David lost the narrative, he sinned, and his life became fragmented. When he began to sing again in Psalms 51, confessing and talking about his sins, he was able to experience God's restoration in his stagnation and to regain his narrative identity. At the end of his life, David looks back on his life and once again expresses gratitudes to God. David's identity discussed in Psalms 18 no longer remains his own personal identity, but expands his identity as a covenant people to reflect the God of all Israel and to the Messiah. David's narrative identity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us today as well. In a fiercely competitive society, we are forced to live with a false identity that has been disguised and inflated to promote ourselves. By reclaiming our true narrative of life, we can find direction on where we came from, where we are, and where we are going, and find our own identity before God. We will realize our true self and gain the courage to live life meaningfully.

한국어

이 연구는 다윗의 삶을 에릭슨의 발달단계에 따라 청소년기, 청년기, 중년기, 노년 기로 구분하고, 다윗이 각 발달단계를 거치며 어떻게 자신의 이야기 정체성을 형성해 갔는지 그 과정을 비춰보고자 하였다. 특별히 다윗의 이야기 정체성이 시편에서 노래 하는 다윗의 모습과 어떻게 관련을 맺는지 살펴보았다. 청소년기 다윗은 보잘 것 없고 작은 목동이었으나, 하나님의 기름 부으심을 통해 그 자신이 하나님의 자녀임을 확인하고, 언약 백성이자 이스라엘 왕으로서의 정체성 을 형성한다. 이러한 다윗의 정체성은 사울에게 쫓겨 광야 생활을 할 때 그가 끝까지 하나님을 신뢰하고 충성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 또한 이러한 그의 모습은 시편 57 편에서 그가 고난 중에도 하나님을 찬양하고 이야기하는 이야기 정체성의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다. 그러나 다윗이 이야기를 잃어버렸을 때, 그는 범죄했고, 그의 삶은 파 편화되었다. 그가 시편 51편에서 다시 노래하기 시작했을 때, 곧 자기 죄를 고백하고 이야기함으로 그는 침체 속에서 회복시키시는 하나님을 경험할 수 있었고, 자신의 이 야기 정체성을 되찾을 수 있었다. 인생의 말년에 다윗은 자신의 생애를 되돌아보며 다시금 하나님께 감사의 이야기를 한다. 시편 18편에서 이야기하는 다윗의 정체성은, 이제 그 자신의 개인적 정체성에 머물지 않고, 언약 백성으로서의 그의 정체성을 확 장하여 온 이스라엘의 하나님, 나아가 메시아를 비추는 데까지 진전된다. 다윗의 이야기 정체성은 현대인들에게도 시사점을 준다. 치열한 경쟁사회에서 어쩔 수 없이 자신을 홍보하느라 포장하고 부풀린 거짓된 정체성으로 살아가게 되는 우 리가 진실된 삶의 이야기를 되찾음으로써, 우리는 내가 어디서 왔고, 어디에 있으며, 어디로 향하는지 방향을 찾고, 하나님 앞에서 나의 참된 모습을 깨닫게 되며, 의미있 는 삶을 살아낼 용기를 얻을 수 있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이야기 정체성과 에릭슨의 발달단계
1. 이야기 정체성
2. 에릭슨의 발달단계
3. 이야기 정체성과 에릭슨의 발달단계 연관성
III. 시인 다윗의 생애와 이야기 정체성
1. 다윗의 생애와 시편의 연관성
2. 에릭슨의 발달단계에 따른 다윗의 생애
3. 다윗의 생애와 시편에 비친 이야기 정체성
IV. 다윗의 이야기 정체성이 현대인의 삶에 비추는 기독상담적 의미
V.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사랑 Choi, Sa-Rang. 한국성서대학교 교수 / 실천신학 / 성서와 상담코칭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