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두 정여창의 수양론과 그 교육적 함의

원문정보

The Theory of Cultivation and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of Ildu Jeong Yeo-chang

강보승

우계문화재단 우계학보 제45호 2023.12 pp.91-116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studies and lives of Ildu Jeong Yeo-chang, who laid the foundation for Neo-Confucianism in the Joseon Dynasty, and studied the theory of cultivation and educational thought in his life. First, I examined Jeong Yeo-chang's ontology, and then analyzed Jeong Yeo-chang's arguments about the mind and emotions. Next, how Jeong Yeo-chang practiced education for posterity was presented. Due to the purge of intellectuals that took place in 1498, there are few remaining writings of Jeong Yeo-chang on fire. Therefore, it was inevitable to analyze Jeong Yeo-chang's ontology and educational ideology by speculation. Jung Yeo-chang held the view that principles were superior to matter in ontology. The reason was the belief that humans can become moral beings through immutable moral principles, not variable materials. And Jung Yeo-chang insisted that the mind should be preserved so that the mind does not move because the mind is not fixed. Jung Yeo-chang said that in order to preserve the mind, it is important not to deceive oneself, and to practice making a proper attitude in everyday life in everyday life. In addition, Jung Yeo-chang placed great importance on cultivating nature in nature, and he reached a high academic level by practicing reading and contemplation in the mountains himself. Jeong Yeo-chang is based on individual holistic education that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his disciples. Based on So-hak and ZhuXi's Family Ritual as the curriculum, the Four-Books were presented in the intermediate level. In the advanced course, he insisted that learners themselves read books related to Neo-Confucianism. Jeong Yeo-chang also held a banquet for the elderly to spread etiquette socially. When he was exiled to the border, he educated the people of the region and produced intellectuals.

한국어

본고에서는 조선조 도학의 초석을 놓아 영남 사림의 태두(泰斗)로 추앙받는 일두의 학문과 삶을 논하고자 그의 삶 속에서 수양론과 그 실천의 실제 모습을 고찰하였다. 그러기 위해 우선 일두의 이기론과 심성론을 살펴 일두가 제시한 수양론의 이론적 기초를 찾아보았고, 일두의 수양론이 그의 삶에서 실제로 어떻게 구현되었는지를 여러 기록 속의 단편적인 단서들을 가지고 유추하고 재구성하였다. 이를 토대로 일두가 ‘임헌수후(立言垂後)’의 사명을 어떻게 완수하였는지 그의 교육사상을 통하여 그 일면을 탐색하였다. 일두는 이기론에 있어서 이(理) 우위적 입장을 견지하였는데, 이는 가변적 氣가 아닌 불변의 도덕 본성인 이(理)를 통해 인간이 도덕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믿음에 의해서였다. 심성론에 있어서 일두는 이른바 ‘심출입설(心出入說)’을 통해 본성과 달리 고정적이지 않은 마음을 붙잡아 보존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이 같은 이기⋅심성론을 토대로 일두는 수양론에서 경학(經學)의 실천을 중시하면서 『대학』의 무자기(毋自欺)와 『소학』의 생활화를 강조하였다. 또한 일두는 자연 속에서의 수양을 중시하였는데, 그는 산수(山水)를 벗하며 정밀한 독서와 깊은 사색을 병행하여 높은 학문적 경지에 이르렀다. 일두는 또한 정좌(靜坐)를 통해 미발 시 심(心)의 본원 함양을 중시하였고 스스로 실천하였다. 일두의 교육은 제자의 특성을 고려하는 개별적 전인교육을 토대로 교육과정으로는 『소학』과 『가례』를 기초로, 중급에서는 사서(四書)를 제시하였으며, 고급 과정으로 오경(五經)과 성리서를 제시하여 배우는 자가 스스로 자신의 경지를 이룩하도록 하였다. 아울러 양노례(養老禮)를 중요한 의례로 시행하여 『가례』와 『소학』을 사회적으로 확산하였으며, 변방에서의 교육을 통해 문풍(文風)을 진작함으로써 자신의 교육이 효과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목차

논문 초록
1. 서론
2. 일두 수양론의 이론적 토대와 실제
1) 수양론의 이기‧심성론적 토대
2) 수양론의 구현 양상과 실제
3. 일두의 교육사상
1) 일두 교육사상의 기조
2) 일두의 교육과정과 방법
3) 교육사상의 구현 양상
4. 마무리하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강보승 Kang, Boseung. 충북대학교 윤리교육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