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초지방자치단체와 개별 농가의 공동브랜드, 신뢰 및 충성도 간의 관계 - 부여군 ‘굿뜨래’ 농산물 공동브랜드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Relationship between Basic Local Governments and Individual Farm Produce Co- Brands, Trust and Loyalty - Focused on the ‘Gootrae’ Agricultural Co-Brand in Buyeo-gun -

권기대, 김신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background of the study is to study relationship be tween basic local governments and individual farm produ ce co-brands, brand trust and loyalty. In the research me thod & subject of study, First, the spatial scope is Buyeo -gun. and Second is limited to the agricultural product co -brand “Goodtrae”. Third, the research method surveyed 327 unspecified buyers of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met ropolitan area. Th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 ws. First, it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that “Local go vernments the agricultural co-brand(environment-friendl y agricultural products1-1, geographical indication1-2, GAP mark1-3, GMP mark1-4 would have a positive (+) relations hip with consumers' brand trust”. Second, it was rejected that “individual agricultural brands of agricultural cooper ative corporations would have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consumer trust”. Thirds, It’s adopted that consumer brand trust will haver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loyalty. To sum up, First, it can be seen that consumers trust the agricultural co-brand of public institutions more than indi vidual brands. This is due to the influence of public socia l activities on the co-brand under the name of the head of the basic local government. Second, local governments’ ‘human resources are also a factor that gains consumers’ trust in strict quality control of co-brand-using farmers. 226 basic local governments in Korea are urban and rural complex cities. The head of the basic local government h as the duty and responsibility to develop a co-brand of agricultural products for local farmers. Local farmers act ually do not have a co-brand, so the use of public policy is required to eliminate barriers to transaction(Place, Tim e, Ownership, Perception, Value).

한국어

본 연구의 배경은 WTO 및 FTA라는 글로벌 농산물 시장 환경에서 ‘기초지방자치단체와 개별농가의 농산물 공동브랜 드, 브랜드 신뢰 및 충성도의 관계’를 검증한다. 연구방법에서 첫째, 공간적 범위는 충남의 부여군으로 한다. 둘째, 연구 대 상은 부여군의 ‘굿뜨래’ 공동브랜드로 국한한다. 셋째, 연구방 법은 회수된 277명의 설문을 SPSS 21 Ver.으로 신뢰성, 요인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가설 1의 ‘기초지방자치단체 농산물 공동브랜드(친환경농산물1-1, 지리적 표시제1-2, GAP의 국가인증마크1-3, GMP 기능성 건강 표기1-4)는 브랜드 신뢰에 정(+)의 관계일 것이다’는 통계적으 로 유의하였다. 둘째, 가설 2의 ‘개별 농가의 농산물 공동브랜 드는 소비자의 브랜드 신뢰에 정(+)의 관계일 것이다’는 통계 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기각되었다. 기초지방자치단체에서 개 발된 공익적 목적의 농산물 공동브랜드는 개별농가(농협, 법 인)의 농산물 공동브랜드에 비해 소비자의 신뢰를 더 높았다. 셋째, 가설 3의 ‘농산물 공동브랜드의 신뢰는 충성도에 정(+) 의 관계일 것이다’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 점은 기초지방자치단체장이 지역 농가들에게 농산물의 유통 촉진을 위해 기초지방자치단체의 농산물 공동브랜드의 사용 을 권유하되 권위있는 농산물 품질 보증의 국가인증마크 획 득이 곧 농산물 브랜드의 거래장애요인(장소, 시간, 소유, 지 각, 가치)을 제거할 수 있음을 공지해야 한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2.1. 농산물 공동브랜드
2.2. 농산물 공동브랜드 및 신뢰 간의 관계
2.3. 브랜드의 신뢰 및 충성도 간의 관계
3. 연구방법
3.1. 연구방법
3.2. 측정척도
4. 가설검증
4.1. 응답자 특성
4.2.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4.3. 기술적 통계값 및 상관관계분석
4.4. 연구가설 검증
5. 결론
5.1. 요약 및 전략적 含意
5.2. 연구의 한계 및 연구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권기대 Kwon Ki Dae. 국립공주대학교, 산업유통학과
  • 김신애 Kim Shine. 성결대학교, 경영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