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예비초등교사의 초·중·고 시절 체육교과에 대한 교육경험 분석

원문정보

Analysis of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hysical education experience dur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박혜진, 양갑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analyze content teaching knowledge by analyzing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s with physical education subjects dur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prospective teachers at A University of Education(Korean Language Education Department n=3, Ethics Education Department n=3, total 6 people) who took physical education teaching methods in th first semester of the 2023 school year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n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and Date were collected through documentary sourc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according ti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4 components, 12 subcomponents, and 48 meaning units were derived. The first component is , with concerns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llections of past physical education classes’, ‘experience of the intrinsic value of physical education’, and ‘experience of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The second is , which is a story about ‘passive physical education class experience’, ‘active physical education class experience’, and ‘communication-centered physical education class experience’. The third is , which includes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physical education facilities and environment', 'recognition of the need for effective teaching materials', and 'lack of experience in various physical activities', which determines whether good physical education classes are good or bad depending on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facility configuration. This is a story of experience. Lastly, through , 'recognition of professionalism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recognition of teachers' teaching responsibilities', and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eacher qualifications' are used to determine what type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should be taught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eachers have developed content teaching knowledge in the past. This is a story about what I experienced.

한국어

이 연구는 예비초등교사의 초·중·고등학교 시절, 체육교과에 대한 경험을 분석하여 내용교수지식을 분석하는데 있 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2023학년도 1학기 체육교수법을 수강한 A교육대학교 예비교사(국어교육과 n=3 명, 윤리교육과 n=3명, 총 6명)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한 후 심층면담과 문서자료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따라 분석한 결과, 구성요소 4개, 하위구성요소 12개, 의미단위 48개가 도 출되었다. 첫 번째 구성요소는 <‘체육’ 다시 생각하기>로 예비초등교사가 ‘과거 체육수업에 대한 회상’, ‘체육교육의 내재적 가치 경험’, ‘효과적인 수업 전략 경험’에 관한 것이다. 두 번째는 <몸으로 생각하기>로 ‘수동적 체육수업 경 험’, ‘능동적 체육수업 경험’, ‘의사소통 중심 체육수업 경험’ 이야기이다. 세 번째는 <관찰하기>로 ‘체육수업 시설 및 환경 중요성 인식’, ‘효과적 수업자료 필요성 인식’, ‘다양한 신체활동 경험 부족’으로 물리적인 환경 및 시설 구 성 정도에 따라 좋은 체육수업과 그렇지 못한 수업의 경험 이야기이다. 마지막으로 <사색하기>로 ‘체육수업의 전문 성 인식’, ‘교사의 수업 책무성 인식’, ‘교사 자질의 중요성 인식’으로 과거 교사가 내용교수지식을 함양하였는지 아 님 아닌지에 따라 어떤 유형의 체육수업을 경험하였는가에 대한 이야기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참여자
2. 자료수집
3. 자료분석
4. 연구의 진실성
IⅡ. 연구결과 및 논의
1. 연구참여자의 초중고 시기 체육교과에 대한 교육경험 구성요소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S

저자정보

  • 박혜진 Park, Hye-Jin. 한국체육대학교, 강사
  • 양갑렬 Yang, Gap-Ryeol. 청주교육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