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예비유아교사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학업적 정서조절이 놀이지원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원문정보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cademic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on Play Support Efficacy

김채연, 지성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cademic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academic emotion regulation on play supporting efficacy.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31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cademic self-efficacy test’, ‘Social support test’, ‘Academic emotion regulation test’, and ‘Play supporting efficacy test’ were used to collect research data. The collected research data were analyzed through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 ‘Academic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and ‘Play supporting efficacy’. Furthermore,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was found to be the highest positive predictor of ‘Play supporting efficacy’.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by sub-factor, ‘self-regulation efficacy’, a sub-factor of ‘Academic self-efficacy’, was found to be a static predictor of ‘Play supporting efficacy’, followed by ‘support from friends,’ ‘support from parent/family’, and ‘support from teac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cessity of constructing an academic environment that can support the positive emotion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s well a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educational contents that consists academic emotion regul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d meaningful implications on the play supporting efficacy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한국어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학업적 정서조절이 놀이지원 효능감에 미치 는 영향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B시에 소재한 3-4년제 대학의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총 310명을 대상으로 실행되었다. ‘학업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학업적 정서조절’, ‘놀이지원 효능감’ 연구도구 를 사용하여 수집된 연구 자료는 Pearson 적률상관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방법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예 비유아교사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학업적 정서조절과 놀이지원 효능감 간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나아가, 학업적 정서조절이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지원 효능감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 났다. 마지막으로 하위요인별로 분석한 결과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자기조절 효능감’이 예비유아교사 의 놀이지원 효능감을 가장 강력하게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밝혀졌으며, 다음으로 ‘친구 지지’, ‘부모/가족지지’, ‘교수지지’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예비유아교사의 긍정적 정서를 지원할 수 있는 학업 환경 구성의 필요성과 더불어 학업 수행에서 정서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내용을 포함한 교육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한 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지원 효능감에 대한 이론적 정보를 구축하고 나아가 예비유아교사 의 놀이지원 증진을 위한 다양한 교수법에 포함되어야 하는 변인에 대한 이해를 높였으며, 실체적인 교육 개발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연구문제
Ⅱ.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2.2 연구도구
2.3 분석방법
Ⅲ. 연구결과
3.1 예비유아교사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사회적 지지, 학업적 정서조절과 놀이지원 효능감 간의 관계
3.2 예비유아교사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사회적 지지, 학업적 정서조절이 놀이지원 효능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3.3 예비유아교사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사회적 지지, 학업적 정서조절 하위요인이 놀이지원 효능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채연 Chayyoun, Kim . 서울한영대학교 유아특수재활학과 교수
  • 지성화 Sung-Hwa, Ji. 경기도 고양특례시의회 정책지원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