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Concet Analysis of Psychiatric Nurse’s Compassionate Communication Competence: Hybrid Model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a mixed methods approach to clarify the concept of compassionate communication competencies of psychiatric nurses. In the theoretical phase, the literature published from 2000 to 2022 was collected and 38 articles were analyzed. For the fieldwork pha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psychiatric nurses from December 1 to December 28, 2022. In the final analysis phase, the dimensions and attributes of psychiatric nurses' compassionate communication competence were identified and conceptualized. Based on the attributes identified in the theoretical and fieldwork phases, the definition of psychiatric nurses' compassionate communication competence was synthesized into five dimensions and 12 attributes. Therefore, psychiatric nurses' compassionate communication competence refers to the skills and abilities of psychiatric nurses to use active listening and empathic skills for effective communication based on compassion and understanding of the target, to be sensitive to the thoughts and feelings of the target, to accurately convey what the target wants to express, to respect the target, and to empower the target.
한국어
본 연구는 혼종 모형 방식을 사용하여 정신 간호사의 공감적 의사소통역량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하기 위해 분 석되었다. 이론적 단계에서 2000년부터 2022년까지 출판된 문헌을 수집하여 최종 38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현장 작 업단계를 위하여 2022년 12월 1일부터 12월 28일까지 8명의 정신 간호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최종 분석 단계를 통해 정신 간호사의 공감적 의사소통역량의 차원과 속성을 도출하여 개념을 분석하였다. 이론적 단계와 현장 작업단계에서 파악된 속성을 바탕으로 정신 간호사의 공감적 의사소통역량을 정의하면 5개의 차원과 12개의 속 성으로 종합되었다. 이에 따라서 정신 간호사의 공감적 의사소통역량은 정신 간호사가 대상자에 대한 공감과 이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적극적 경청과 공감적 스킬을 사용하고, 대상자의 생각과 감정에 민감하게 반응하 여 대상자가 표현하고자 하는 바를 정확하게 전달하고 대상자를 존중하며 대상자에게 힘을 실어주는 기술과 능력을 의미한다.
목차
Abstract
Ⅰ.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 방법
1. 연구설계
2. 자료수집 및 분석
3. 연구의 윤리적 고려
Ⅲ. 연구결과
1. 이론적 단계
2. 현장 작업 단계
3. 최종 분석 단계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