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cale that can measure the execution function based on one's own behavior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To do this,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execution function were analyzed, and through this, provisional components of the execution fun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extracted. Fifty-two preliminary questions explaining the components were devised, and 36 questions were derived through expert review.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on 204 students in the 5th and 6th grades of Sejong- City, an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23 questions of 6 factors extracted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is survey was conducted on 435 3rd to 6th grade students an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s: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23 questions were extracted from 6 factors: ‘strategic planning and execution ability’, ‘adaptive thinking ability’, ‘working memory’, ‘self-control’, ‘academic resilience’, and ‘intrinsic learning motivation’.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goodness of fit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ignificance level of the path from latent variables to measured variables, and reliability were all found to be appropriate.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first, that the developed measurement tool for executive function a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ands the research subjects of existing studies to gene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allowing for more diverse discussions related to executive function. Second, the executive functions measured using this tool can help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hieve basic learning functions, socialization functions, and holistic development, which are the goals of elementary education. Third,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helpful in diagnosing and developing the deficienci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ecutive functions measured using this tool.
한국어
[연구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자신의 행동을 바탕으로 실행기능을 측정할 수 있 는 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실행기능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초등학생의 실행기 능 잠정 구성요소를 추출하였다.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52개의 예비문항을 구안하여, 전문가 검토를 거쳐 36문항을 도출하였다. 세종특별자치시 5∼6학년 학생 204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로 추출된 6요인 23문항을 바탕으로 3∼6학년 학생 435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전략적 계획 및 실천’, ‘적응적 행동’, ‘작업기억’, ‘억제적 통 제’, ‘학업적 탄력성’, ‘내재적 학습동기’의 6개 요인 23문항이 추출되었다. 확인적 요 인분석 결과,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잠재변수에서 측정변수에 이르는 경로의 유의수준, 신뢰도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본 연구의 의의로는 첫째, 개발된 초등학생 자기보고식 실행기능 측정도구는 기존 연구들의 연구 대상을 일반 초등학생들로 확장시켜 실행기능과 관련된 보다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둘째, 본 도구를 활용해 측정된 실행기능 은 초등학생이 초등교육의 목표인 기초학습 기능, 사회화 기능, 전인적 발달을 달성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셋째, 본 도구를 활용해 측정된 초등학생의 실행기능 중 부족한 부분을 진단하여 발전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의의를 가진다.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실행기능의 정의
2. 실행기능의 구성요소
III. 연구 절차와 방법
1. 문항 개발
2. 초등교육 전문가 대상 내용타당도
3. 예비조사와 본조사
4. 자료처리
IV. 연구 결과
1. 초등학생 자기보고식 실행기능 측정도구 구안
2. 초등학생 자기보고식 실행기능 측정도구 타당화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