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진격의 거인(進撃の巨人)>의 극 초반부 세계관에 나타난 ‘공포’의 전개 양상 : 프로이트의 관점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development of “fear” in the worldview at the early phase of <Attack on Titan> : Based on Freud's perspective

이재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Hajime Isayama's shows the essence of “aesthetics of violence” within a simple plot structure of human-giant confrontation. The ruthless psychological and physical oppression of a giant that threatens humanity living in the barrier adds tension to the work, and the beginning of the play especially firmly establishes the world view of the work through the devices of “fear” arising from the dichotomous confrontation betwee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The extreme fear and violence of the work can also be a source of unique sublime in that it is a cause of disgust and projects a “human who yearns for freedom”. However, the worldview of relies, above all, on the complex struggle history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This struggle history amplifies the uncanny in the psychoanalytic sensitivity of the complex mixture of ‘monstrosity in humans’ and ‘humanity in monsters’, giving the fundamental fear of the fall of the world of reality and consciousness. This study classifies the keywords of “fear” that lead the work with the help of Freud psychoanalysis as “siege mentality”, “giant”, and “cannibalism” In addition, by examining the claustrophobia, uncanny, Oedipus complex, and castration fear arising from this, we want to approach the nature of the ‘bad taste’ shown by . Therefore, this study will be of extended significance in that it is an analysis of the work of , as well as a psychoanalytic approach to the aesthetic qualities of fear and violence, and to the human reality living in eternal ontological conflicts.

한국어

이사야마 하지메(諫山創, 1986~ ) 원작의 <진격의 거인>은 인간과 거 인의 대결이라는 단순한 플롯 구조 안에서 ‘폭력 미학’의 정수를 보여준 다. 방벽 안에 거주하는 인류를 위협하는 거인의 무자비한 심리적·물리적 억압은 작품에 긴장감을 더하는데, 특히 극의 초반부는 의식과 무의식의 이분적 대립으로 발생하는 ‘공포’의 장치들을 통해서 작품의 세계관을 확 고히 설정한다. 작품의 극단적인 공포와 폭력성은 혐오의 원인이면서 ‘자 유를 갈망하는 인간’을 투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별한 숭고함의 원천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진격의 거인>의 세계관은 무엇보다도 의식과 무의 식의 복잡한 투쟁사에 의존하고 있다. 이 투쟁사는 ‘인간 안의 괴물성’과 ‘괴물 안의 인간성’이 복잡하게 뒤섞인 정신분석학적 민감성 안에서 언캐 니를 증폭하면서 현실과 의식 세계의 몰락이라는 근원적 공포를 선사한 다. 본 연구는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의 도움을 주요하게 빌려 작품을 이끄 는 ‘공포’의 키워드를 ‘피포위(被包圍) 의식’, ‘거인’, ‘인육섭식(人肉攝食)’ 으로 분류한다. 그리고 이로부터 발생한 폐소공포, 언캐니, 오이디푸스 콤 플렉스, 거세공포 등을 고찰함으로써 <진격의 거인>이 보여주는 악취미 (bad taste)의 본질에 다가가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진격의 거인> 의 작품 분석인 동시에, 공포와 폭력의 미학적 자질에 대한, 나아가 영원 한 존재론적 갈등 속에 사는 인간 현실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접근이라는 점에서 그 확장된 의의가 있을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플롯의 기본 구조
3. 피포위의 폐소공포와 제국주의 알레고리
4. 거인의 언캐니 밸리
5. 인육섭식의 공포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재걸 Lee, Jae Geol. 중앙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