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ATIS

서비스 구역 수준별 공유 전동킥보드 통행발생모형 개발

원문정보

Development of Trip Generation Models for Shared E-Scooter by Service Areas Clustered by Level of Trip Density

송태진, 김규혁, 이창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rapid growth in shared E-scooters worldwide has led to many studies on the topic.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are still in the early stages, and the main factors affecting trips are being identified.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trip-generation models is very important for transportation planning, and a new transportation mode for developing the models for shared E-scooters is lacking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trip generation model for shared E-scooters using significant variables by thoroughly reviewing previous studies. The trip characteristics of major service areas and other areas may differ owing to the trip characteristics of the mode. The trip generation model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service trip density by dividing the areas by service level. The factors affecting shared E-scooter trips in major service areas included the presence of universities, closeness centrality, and cultural areas, while factors affecting the trips in minor service areas included the presence of universities, betweenness centrality, and trip distance. The developed models provide basic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to establish transport policies for introducing shared E-scooters in cities in the future.

한국어

세계적으로 공유 전동킥보드의 이용이 급증하면서 해당 수단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 고 있다. 아직은 초기 단계의 연구 결과가 나타나고 있으며, 그 중 통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파악하는 연구들이 결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통행발생 모형 개발은 교통계획 측면의 활용에서 아주 중요하며 신교통수단인 공유 전동킥보드는 국내외적으로 통행발생모형 개발이 부재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면밀히 검토하여 유의미한 변수들을 활용한 공유 전동킥보 드 통행발생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공유 전동킥보드 특성 상 주요 서비스 지역과 그 외 지역의 통행 특성이 상이하다. 서비스 통행량에 근거하여 서비스 수준별 지역을 구분하여 지역별 통행발생 모형을 구축했다. 분석 결과, 주요 서비스 지역 내 공유 전동킥보드 통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학 유무, 근접중심성, 문화지역 면적 등으로 나타난 반면, 그 외 지역 내 공유 전동킥보드 통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학 유무, 매개중심성, 통행거리 등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1. 통행발생모형
2. 공유 전동킥보드 등 마이크로모빌리티 통행특성 및 이용요인 관련 연구
3. 연구의 차별성
Ⅲ. 연구 방법론 및 결과
1. 연구의 흐름
2. 공유 전동킥보드 이용 이력 데이터
3. 주요 서비스 구역 및 그 외 지역 군집
4. 변수 구축
5. 중요 변수 도출
6. 서비스 지역별 공유 전동킥보드 통행발생모형 도출
Ⅳ. 토론
Ⅴ.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송태진 Tai-jin Song.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부교수
  • 김규혁 Kyuhyuk Kim.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박사과정
  • 이창훈 Changhun Lee.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단 선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