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보건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공감, 우울과 전공만족도 간의 경로분석

원문정보

Path Analysis of Self-Esteem, Empathy, Depression, and Major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박미현, 박은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impact of major variables such as self-esteem, empathy, and depression on major satisfaction among nursing students, construct a hypothesis model, and identify direct and indirect effects through path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from 200 nursing students between 2 March and 30 March, 2023 from two universities in C-Do,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6.0 and AMOS 23.0. In the final model, self-esteem (β=.29, p =.001), empathy (β=.49, p =.001), and depression (β=-.21, p =.032) had a direct effect on major satisfaction. Additionally, self-esteem (β=.12, p =.031) had an indirect effect on major satisfaction through depression. The explanatory power of empathy, self-esteem, and depression for major satisfaction was confirmed to be 36%. Increasing self-esteem and empathy will not only directly increase major satisfaction, but indirectly lowering depression and increasing self-esteem will also increase major satisfaction. Therefore, when developing a nursing education program that increases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gnitive behavioral strategies that can increase self-esteem and empathy and reduce depression.

한국어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공감과 우울의 주요 변인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가 설모형을 구축하여 경로분석을 통해 직·간접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2023년 3월 2일 부터 3월 30일까 지 C도에 소재한 2개의 대학 200명을 대상자로, 자료분석은 SPSS 26과 AMOS 23으로 하였다. 최종 모델에서 자아존중감(β =.29, p =.001), 공감(β=.49, p =.001), 우울(β=-.21, p =.032)이 전공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존중감(β=.12, p =.031)은 우울을 매개하여 전공만족도에 간접효과를 나타났다. 전공만족도에 대한 공감, 자아존중감, 우울의 설명력은 36% 로 확인되었다. 자아존중감과 공감을 높이는 것은 직접적으로 전공만족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우울을 낮춰 자아 존중감을 높이면 전공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를 높이는 간호교육프로그램 개발 시 자아존중감, 공감을 높이고 우울은 낮출 수 있는 인지행동전략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목차

요약ㅤ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자
2.3 연구도구
2.4 자료수집 방법 및 윤리적 고려
2.5 자료분석 방법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 공감, 우울, 전공만족도 정도와 차이
3.2 대상자의 자아존중감, 공감, 우울, 전공만족도 수준과 상관관계
3.3 가설모형 검정
4. 논의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박미현 Mihyeon Park. 충남대학교 박사후연구원
  • 박은영 Eunyoung Park. 백석문화대학교 초빙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