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users' perceived benefits on their happiness and loyalty towards the university's online class system. Furthermore, the notion of loyalty was delineated into cognitive, emotional, intentional, and behavioral loyalty, and a systematic analysis was conducted to assess their respective impacts.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urvey data obtained from a sample of 298 college students who possessed prior experience with the university's online class system.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vealed that the satisfaction with the online class system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perceived practical benefits and symbolic benefits. However, it was found that emotional benefit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satisfaction. Furthermore,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cognitive loyalty exerts a substantial beneficial impact on emotional loyalty, as well as a sequential and considerable positive influence on active and behavioral commitment inside the online class system established through perceived benefits.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as it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impact of users' perceived benefits of the university's online class system on their satisfaction levels, as well as its influence on the four-stage development process of loyalty.
한국어
본 연구는 대학의 온라인 수업 시스템을 사용함에 있어 이용자의 인지된 혜택이 만족도와 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았다. 또한 충성도의 개념을 인지적, 감정적, 의도적, 행위적 충성도로 구분하고, 단계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대학의 온라인 수업시스템 이용경험이 있는 298명의 대학생으로부터 수집한 설문 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설문결과, 지각된 실용적 혜택과 상징적 혜택이 온라인수업 시스템만족도에 양의 영향을 미쳤지만, 감정적 혜택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지각된 혜택으로 형성된 온라인수업 시스템만족도는 인지적 충성도가 감성적 충성도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능동적 충성도와 행동적 충성도에 단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의 온라인수업 시스템 이용자의 지각된 혜택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충성도의 4단계 형성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연구모형
2.1 지각된 혜택
2.2 충성도
2.3 연구모형과 가설
Ⅲ. 연구방법
3.1 측정도구
3.2 설문 참여자
Ⅳ. 분석결과
4.1 신뢰도 및 타당도
4.2 가설 검증 결과
Ⅴ. 연구결과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