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Practical Applications of the Concept of Play Frame by Having the Experience of Involvement and Participation in Play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n alternative framework for developing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abilities in supporting young children's play. Within this qualitative research, twenty-two pre-service teachers not only coordinated seven sets of play activities but also took part in them so as to gain insight about play frame. The concept of play frame as postulated by Bateson (1955) as well as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and dynamic assessment as postulated by Vygotsky (1978) theoretically supported the pre-service teachers’ alternative view on their facilitative roles when interacting with children during play. By qualitatively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by video-recording and reviewing personal journals, this study is prepared to discuss three main findings. First,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able to grasp the opportunities to make outside interventions that would not disrupt ongoing play. Second, the pre-service teachers applied the concept of play frame in practice regarding outside intervention by identifying characteristics of play. Third, the pre-service teachers had the opportunities to assess and determine the degree of mediation that was needed among play groups. This study presented an innovative simulated teaching environment that allows for a more critical examination of the role of play facilitators without necessarily objectifying or strictly aligning the content and level of play with young children. By making full use of the concept of play frame pre-service teachers may establish contexts for involvement in children's play. A further point needs to be made with regard to the cases when the play coordinator participates in the play which may occur within the play frame.
한국어
본 연구는 Bateson(1955)의 놀이틀 개념을 활용하여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지원 역량 을 함양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적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질적 연구로 수행된 본 연 구에서는 동영상 촬영과 온라인 서면 자료를 수집, 분석하여 놀이 지원자와 놀이 참여 자의 경험을 기록하였다. 22명의 예비유아교사는 7개의 놀이를 설계하였고 놀이 지원 자 및 놀이 참여자의 역할을 맡아 놀이를 진행하였으며 놀이 직후 현장에서 토의를 실 시하였다. 첫째, 예비유아교사는 놀이틀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놀이 참여자의 놀이틀 외부에서 놀이를 지원할 수 있는 맥락과 상황을 포착할 수 있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 는 자유선택, 비실제성 등 놀이의 특성을 활용하여 놀이틀의 개념을 보다 구체적으로 다룰 수 있었다. 셋째, 예비유아교사는 Vygotsky(1978)의 근접발달영역과 역동적 평 가의 개념에 입각해서 놀이 참여자에 대한 도움의 강도를 조절하였다. 본 연구는 일인 칭 관점에서 유아를 객체화하거나 놀이의 내용이나 수준을 유아로 무조건 맞추어 실행 하지 않고서도 놀이 지원자의 역할에 대해 보다 비판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모의수업 방법을 고안하여 실행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놀이틀은 교사의 놀이 개입 및 지원에 서 유용한 개념적 틀이 될 수 있다. 놀이틀 외부에서뿐만 아니라 놀이틀 내부에서 놀이 를 지원할 수 있는 방법과 함께 이를 예비유아교사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추후 연구로 제언한다.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1. 놀이틀의 개념
2. 놀이지원
Ⅲ. 연구 방법
1. 연구참여자
2. 연구 절차
Ⅳ. 연구결과
1. 놀이틀 밖에서의 물리적 놀이지원
2. 놀이틀 밖에서의 상호작용을 통한 놀이지원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