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고전문학 교수학습 모형 연구 : 시가문학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Classical Literatur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 Focused on Poetry Literature

이명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apply a teaching-learning model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by focusing on classical poetry literature. Based on the analysis that there has been a lack of research on systematic educational contents and plans according to representative genres and works of Korean literature history, this paper focuses on learner-centered teaching-learning methods. Ancient songs, Hyangga, Goryeo songs, Sijo, and folk songs were suggested as poetry genres that have important meaning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can be dealt with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significance of each genre was discussed. And, according to the genre, two works were selected and a plan was prepared to give literary meaning while attracting the interest of foreign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Based on this, teaching-learning was conducted for three semesters in a lecture for college students studying in Korea. Learners were able to know the thoughts, emotions, daily life, and history of Koreans through classical poetry, and naturally understood the commonality and diversity of culture by finding and comparing them with their own country’s literature or today’s songs. Through this, they tried to change themselves and apply it to life. The learners did various literature activities in groups every hour, wrote and presented on the activity sheet, and self-evaluated in the last week. Through learner observation, worksheet results, and self-assessment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se classic poems helped learners not only improve Korean language but also become familiar with Korean culture including Korean literature and cultivate intercultural attitudes. Based on the literature education theory and actual class results, a procedural model of teaching-learning was composed and proposed as ‘introduction of genre and works,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works, comparison and expansion, internalization and finish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suggesting what and how Korean classical poetry for foreign learners should be handled in teaching-learning. As teaching-learning content, genres and works that can be dealt with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suggested, and a model of procedures and contents applicable in the educational field was devised. In addition, the teaching-learning plan as an example shows actual instructor and learner activities and can be used in class or used as a reference material.

한국어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고전시가 문학을 중심으로 이의 교수-학습 모 형을 개발하고 적용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연구가 한국 문학사의 대표 장르와 작품 에 따른 체계적인 교육 내용과 방안에 관한 연구가 부족했다는 분석하에 본고는 학습 자 중심의 교수-학습 방안에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문학사적 의미가 있고 한국어교육에서도 다룰 만한 시가 장르로 고대가요, 향가, 고 려가요, 시조, 민요를 제안하고 의의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20대 외국 대학생들의 흥미 를 이끌면서 문학적 의미를 줄 수 있도록 장르별 두 작품씩을 선정하여 계획안을 마련하 였다. 이를 바탕으로 외국 대학생 대상의 강좌에서 세 학기 동안 교수-학습을 하였다. 학 습자들은 고전시가를 통해 한국인의 생각, 감정, 일상생활, 역사 등을 알 수 있었고 자국의 문학이나 오늘날의 가요 등을 스스로 찾아 비교하면서 문화의 공통성과 다양성을 자 연스럽게 이해하였다. 이를 통해 자신이 변화하고 삶에 적용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매시 간 여러 가지 문학 활동을 조별로 하고 활동지에 작성하고 발표하였으며 마지막 주에는 자기평가를 하였다. 학습자 관찰, 활동지 결과, 자기평가 분석을 통해 이러한 고전시가 문학 교수-학습이 학습자의 한국어 향상뿐 아니라 한국 문학을 포함한 한국 문화와 친숙 해지고 상호문화적인 태도를 함양하는 데 도움이 되었음을 확인했다. 문학 교육 이론과 실제 수업 결과를 바탕으로 교수-학습의 절차 모형을 ‘도입 및 장 르와 작품의 소개, 작품의 이해와 감상, 비교 및 확장, 내면화 및 마무리’로 구성하고 제 안하였다. 본 연구는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 고전시가 교수-학습에서 무엇을 어떻 게 다루어야 하는지를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1. 고전시가 문학 교수-학습의 내용
2. 한국시가 문학 교수-학습의 방법
Ⅲ. 고전시가 문학 교수-학습 사례
1. 교수-학습의 계획 및 전개
2. 수업의 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명애 Lee Myeong Ae. 가톨릭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