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When a person with diminished mental capacity refuses necessary medical care, normative judgments about when paternalistic intervention can be justified come into question. A typical example is involuntary hospitalization for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traditionally governed by mental health law. However, Korean civil law reform in 2011 introduced a new form of involuntary hospitalization through guardianship legislation, leading to a dualized system to involuntary hospitalization. Consequently, a conflict has arisen between the ‘best interest and surrogate decision-making’ paradigm of civil law and the ‘social defense and preventive detention’ paradigm of mental health law. Many countries have criticized this dualized system as not only inefficient but also unfair. Moreover, the requirement for the presence of ‘mental illness’ for involuntary hospitalization under mental health law has faced criticism for unfairly discriminating against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In response, attempts have been made to integrate guardianship legislation and mental health law based on mental capacity. This study examines the legislative process and framework of the Mental Capacity Act (Northern Ireland) 2016, which reorganized the mental health care system by fusing guardianship legislation with mental health law based on mental capacity. By analyzing the case of Northern Ireland, which has grappled with conflicts between guardianship legislation and mental health law since the 1990s and recently proposed mental capacity as a single, non-discriminatory standard, we aimed to offer insights for the Korean guardianship and mental health systems.
한국어
의사결정능력이 저하된 자가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거부하거나 적절히 의사를 표현하 지 못하는 경우, 외부로부터의 후견주의적 ․ 예방적 개입이 언제 정당화될 수 있는지에 대한 규범적 판단이 쟁점이 된다. 이러한 어려움은 정신의료에서의 비자의 입원의 경우 더욱 명확하게 드러나며, 국내에서는 전통적으로 ‘정신질환의 존재’와 ‘자타해 위험’을 주된 요건으로 하는 정신건강복지법에 근거하여 비자의 입원을 시행해 왔다. 그러나 2011년 민법 개정으로 민법상 후견제도를 통한 비자의 입원의 방식이 새롭게 도입되며, 국내의 비자의 입원은 형식상 이원화된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이때, 후견제도 를 통한 비자의 입원은 당사자에게 ‘의사결정능력의 저하’가 있고, 개입이 ‘당사자의 복 리 증진’에 부합할 것을 실행의 요건으로 한다는 점에서 정신건강복지법에 근거한 비자 의 입원과 그 목적과 성질을 달리한다. 정신적 능력이 저하된 당사자에 대한 비자의 입원 이 이처럼 정신보건법을 통한 방식과 후견제도를 통한 방식으로 이원화되는 양상은 해외 에서도 유사한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그러나 대상자가 고령화되어 정신질환과 신체질환의 치료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 가 많아지고 정신질환과 신체질환의 구분이 모호한 노인성 정신질환의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민법상 ‘최선의 이익-대리의사결정’ 패러다임과 정신보건법상의 ‘사회방위-예 방적 구금’ 패러다임이 정신장애인에 대한 법적 규율 영역에서 중첩되고 서로 충돌하는 현상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해외에서는 이러한 이원화된 체계가 비효율적이고 형평성에 도 어긋난다는 지적이 이어졌으며, 나아가 ‘정신질환’이 있을 것을 근거로 하여 후견주의 적 ․ 예방적 개입을 정당화하는 정신보건 법제의 비자의 입원 요건은 정신장애인에 대한 부당한 차별에 해당한다는 비판도 꾸준히 이루어졌다. 이에 해외에서는 ‘의사능력’을 기초로 후견제도와 정신보건 법제를 융합(fusion)하 여, 능력이 저하된 개인에 대한 후견적 ․ 예방적 개입을 일관되게 규율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이는 의사능력 저하자의 신체질환과 정신질환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을 동일한 체계 속에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지 ‘정신장애’를 지니고 있다는 것만으로 차별적으로 대우하는 정신보건법의 한계를 극복하는 것이기도 했다. 본 연구에서는 의사능력을 기반으로 후견제도와 정신보건법을 융합(fusion)하여 정 신의료 서비스 체계를 새롭게 재구성한 전 세계 최초의 사례인 영국 북아일랜드 정신능 력법(Mental Capacity Act 2016)의 제정 과정과 구체적 작동방식을 분석하였다. 후견 제도와 정신보건 간의 충돌의 문제를 1990년대부터 고민하여 최근 2016년 ‘의사능력’ 이라는 단일하고 비차별적인 기준을 제시한 영국 북아일랜드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국내 후견 및 정신보건 제도에의 함의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제언하고자 하였다.
목차
1. 성년후견제도와 정신건강복지법 충돌에 대한 대응 (1) : 후견인의 유무에 따른 구분
2. 성년후견제도와 정신건강복지법 충돌에 대한 대응 (2) : 공법적/사법적 비자의 입원의 구분
3. 성년후견제도와 정신건강복지법 충돌에 대한 대응 (3) : 융합 법제의 설계
II. 의사능력에 기반한 융합 법제의 제정 배경32)– England&Wales의 Mental Capacity Act 2005를 중심으로
1. MCA 2005의 제정
2. 정신능력법상 자유박탈(Deprivation of Liberty) 규정의 도입과 정신보건법과의 충돌
3. ‘능력 기반 접근(capacity-based approach)’과 MCA (NI) 2016
III. 정신능력 법제와 정신보건 법제의 융합 : MCA (NI) 2016
1. MCA (NI) 2016의 기본원칙과 절차적 보호
2. MCA (NI) 2016에서의 비자의 입원
3. MCA (NI) 2016 제정의 함의
IV. 나가며 : MCA (NI) 2016의 국내 법제에의 함의와 향후 개정방향
〔 참 고 문 헌 〕
[국문초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