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다양성에 대한 지역사회의 인식과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wareness of Community and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on Cultural Diversity : Focusing on Gwangju Metropolitan City

방기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degree of awareness of community regarding cultural diversity and to investigate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on Gwangju metropolitan city in terms of cultural diversity, and a research method was applied. The survey subjects were 271 institutions located in local governments, a tool consisting of 22 survey questions was developed, and responses from 137 institution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applying mean difference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Awareness of cultural diversity was generally high for each independent variable, and suggested opinions such as securing a sufficient budget, expanding programs etc.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was also considered very important for each independent variable, and presented that local governments set cultural diversity policy goals etc.

한국어

이 연구는 문화다양성에 대한 지역사회의 인식 정도를 알아보고, 문화다양성 측면에서 지방자치단 체의 역할을 구명하고자 한 것으로써, 조사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조사 대상은 지방자치단체에 소재 한 271개 문화다양성 유관 기관(단체)으로 하고, 22문항으로 구성된 조사 도구를 개발하여 137개 문화 다양성 유관 기관(단체)으로부터 회수하였다. 회수된 조사 도구는 코딩하여 평균 차이 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문화다양성에 대한 인식은 독립변인에 따라 대체로 높았고, 충분한 예산 확보 및 프로그램 확대, 균형 있는 문화다양성 정책 추진 등의 의견을 제시하였다.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에 대해서도 독립 변인에 따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며, 지방자치단체가 지역 수준의 문화다양성 정책 목표 설 정 및 종합계획 수립 ‧ 추진, 예산 확보 및 집행 ‧ 감독 등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문화다양성에 대한 인식은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수행에 매우 중요하므로 연구 결과에서 도출된 내용이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반영되고 지방자치단체에 의해 충실히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문화다양성의 개념 및 가치
2. 문화다양성의 범위(분류 체계)
3. 문화다양성에 대한 지역사회의 인식과 지방자치단체 역할의 관계
Ⅲ. 연구 방법
1. 문헌 연구
2. 조사 연구
Ⅳ. 연구의 결과
1. 응답한 문화다양성 유관 기관(단체)의 일반적 특성
2. 문화다양성에 대한 유관 기관(단체)의 인식
3. 문화다양성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방기혁 Gihyeog Bang. 광주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