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Applying an Interdependence theory to Improve Logistics Performance

원문정보

상호의존성 이론을 적용한 물류성과 향상에 관한 연구

Lee, Changjoon, Ha, Young-Kyou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aradigm of corporate management is changing from competition among individual firms to competition among supply chains. Therefore, firms are seeking to understand and implement supply chain management to enhance supply chain competitiveness. Based on interdependence theor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satisfaction and quality of alternatives on two dimensions of trust (cognitive and emotional) and logistics performance. The research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comprised five factors: satisfaction, quality of alternatives, cognitive trust, emotional trust, and logistics performance. A total of 20 variables were used to measure these constructs. For the empirical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from employees working in supply-chain-related departments in Korea, and 300 responses were analyzed. The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model confirmed that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cognitive and emotional trust. It was also found that the quality of alternatives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dimensions of trust. Finally, the results showed that emotional trust had a positive effect on logistics performance, but cognitive trust did not. The proposed research model expands interdependence theory and provides a framework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satisfaction and quality of alternatives and cognitive and emotional trust and logistics performance. Through these results, this study shows that firms managing relationships related to supply chains should focus on forming and developing emotional trust based on emotions or psychological state. These results suggest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this study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academic expansion and convergence research by applying and expanding existing psychological theory to supply chain management. Second, in practical terms, it suggested that it is important to form emotional trust based on emotions or psychological states in managing relationships between companies for supply chain management.

한국어

기업 경영의 패러다임이 기업 개별 간 경쟁에서 공급사슬 간 경쟁으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기업은 공급사슬 경쟁력 향상을 위해 공급사슬 관리에 대한 이해와 실행을 도모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환경 속에서 심리적 요인이 정량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게 된다. 구체적으 로 상호의존성 이론을 바탕으로 만족도와 대안의 질이 두 가지 차원의 신뢰와 물류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게 된다. 이를 위해 한국 내 공급 사슬 관련 부서에 일하는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00개의 설문응답지를 통계분석에 활용했다. 연구모형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의 분석 결과, 만족도는 인지적 신뢰와 정서적 신뢰에 긍정적 효과를 준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한 대안의 질이 두 차원의 신뢰와 반비례적 관계임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정서적 신뢰는 물류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인지적 신뢰는 그러하 지 못한 것을 확인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공급사슬관리를 위한 기업 간 관계관리에서 감정이나 심리상태에 기반한 정서적 신 뢰를 형성하고 개발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그리고 이러한 결과는 각각의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먼저 본 연구는 기존의 심리학 이론을 공급사슬 관리에 응용 및 확대 적용 하여, 학문적인 확장성과 융합 연구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실무적으로는 공급사슬 관리를 위한 기업 간 관계관리에서, 감정이나 심리 상태에 기반한 정서적 신뢰를 형성하고 개발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목차

Abstract
I. Introduction
II. Theoretical background
1. Interdependence theory
2. Trust
3. Cognitive trust
4. Emotional trust
5. Logistics performance
III. Hypothesis setting and research model
1.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trust
2.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alternatives and trust
3. Relationship between trust and logistics performance
IV. Research method and empirical analysis
1. Sample selection and data collection
2. Sample characteristics
3. Definitions and measurement of variables
4. Reliabilit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5. Hypothesis testing
V. Results
1. Summary of results
2. Implications
3. Limitations and suggestions
References
요약

저자정보

  • Lee, Changjoon 이창준. Assistant Professor,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University of Ulsan, Ulsan, Korea
  • Ha, Young-Kyou 하영규. Doctor, Department of International Trade and Logistic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