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Analysis of Color Design in PC Horror Game Poster

원문정보

PC 호러게임 포스터의 색채디자인 분석

Xue Ting YIN, Cheung Woon JHO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global PC game market is enjoying sustainable growth, and diverse grow types and quantities of games. Among the many, the theme of horror circulates in the market. Ahead of placing orders, the poster initiates the first exchange with the game, players and consumers, and affects buyers' behavior and cognition subject to its color. What is an eye-catching poster? Different games have different styles and philosophies, so it leads to a certain degree of variation in the poster design of each game. In order to study the common points of popular game color design. For the top 10 most acclaimed horror games on STEAM (PC), 5 to 6 color elements were mined from each poster for analysis and offered suggestions on poster design. First, in the color selection, more warm colors are on the list of recommendation, such as yellow, you can also choose cool colors such as blue. Second, high-saturation and high-brightness colors speak for better choice. The design of color is not absolute, and this thesis only analyzes the posters of commercially circulated and well-received horror games. It is hoped to provide insights for user-friendly interface design, support and understanding of user behaviors.

한국어

세계 PC 게임 시장은 지속 가능한 성장을 구가하고 있으며, 게임의 종류와 수량이 다양하게 성장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공포라는 주제가 시장에 떠돈다. 포스터는 주문에 앞서 게임, 플레이어, 소비자와의 첫 번째 교환 을 시작하고 색상에 따라 구매자의 행동과 인지에 영향을 미친다. 눈길을 끄는 표지란 무엇인가? 게임마다 스 타일과 철학이 다르기 때문에 게임마다 포스터 디자인에 어느 정도 차이가 난다. 인기 있는 게임 컬러 디자인 의 공통점을 연구하기 위해서입니다. STEAM(PC)에서 가장 호평을 받은 상위 10개 호러 게임의 경우, 분석을 위해 각 포스터에서 5~6개의 색상 요소를 채굴하고 포스터 디자인에 대한 제안을 제공했다. 우선 색상 선택 시 노란색 등 따뜻한 색상이 더 많이 추천 리스트에 오르고, 파란색 등 시원한 색상도 선택할 수 있다. 둘째, 고포화도와 고휘도 색상은 더 나은 선택을 의미한다. 컬러의 디자인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며, 본 논문에서는 상업적으로 유통되고 호평을 받고 있는 호러 게임의 포스터만을 분석한다.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 설계, 지원 및 사용자 행동에 대한 이해를 위한 통찰력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ABSTRACT
1. Introduction
2. Methodology
3. Theories
3.1 PC Horror Games
3.2 PC Games Poster
3.3 Colors
4. PC Horror Game Poster Color Analysis
4.1 Munsell (hue) Color Analysis
4.2 Analysis of Saturation
4.3 Analysis of Brightness
4.4 Analysis Results
5. Conclusion
Reference
<국문초록>
<결론 및 향후 연구>

저자정보

  • Xue Ting YIN 인쉐팅. Dept. of Visual Contents, Graduate School, Dongseo University
  • Cheung Woon JHO 조청운. Dept. of Visual Contents, Graduate School, Dongseo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