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소셜미디어 상호작용이 조직기반 자존감을 매개로 조직 구성원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A Study on Social Media Interaction for Employee Performance Mediated by Organizational-Based Self-Esteem

최수형, 강희경, 김예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fulness and interactive detection of organizational members through social media interaction and the performance of organizational members, and to reveal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based self-esteem. Specifically, this study assumed that the usefulness and interactive detection of organizational member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organizational-based self-esteem, and as a result, i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task and context performance of organizational members. To test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workers at public institutions, large companies, and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located in Beijing, Shanghai, Guangdong, and Honan in China. The survey was conducted by sharing the link to the online questionnaire, and a total of 468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the responses with errors. The research analysis was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SPSS 22.0 and AMOS 18.0. The results of the hypothesis test showed that organizational members' usefulness and interactive detec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based self-esteem, respectively, and organizational-based self-esteem had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members' task and context performance. In addition, organizational-based self-esteem was tested to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usefulness detection and interactive detection on task performance and context performa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analysi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use of social media in organizations were discussed as influencing factors that improve the performance of organizational members. Organizations can strengthen their activities and induce positive effects on performance by creating social media platforms or supporting activities that can be communication between members. In other words, it shows that social media activities can be part of the socialization proces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and should be managed as a valuable means of bringing about performance at the members and organizational level.

한국어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상호작용을 통한 조직 구성원의 유용성 및 쌍방향 감지와 조직 구성원의 성과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조직기반 자존감의 매개효과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조직 구 성원의 유용성 및 쌍방향 감지가 조직기반 자존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결과적으로 조직 구성원의 과 업성과와 맥락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하여 중국 베이징, 상하이, 관둥, 후난지역에 위치한 공공기관, 대기업, 중소기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온라인 설문지 링크를 공유하여 진행하였으며 오류 를 가지는 응답을 제외하고 총 468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분석은 SPSS 22.0과 AMOS 18.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를 살펴보면, 조직 구성원의 유용성 감지와 쌍방향 감지는 조직기반 자존감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기반 자존감은 조직 구성원의 과업성과와 맥락성과에 정(+)적으로 유 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기반 자존감은 유용성 감지와 쌍방향 감지가 각각 과업성 과와 맥락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조직 구성원의 성과를 향상시키는 영향 요인으로서 조직에서의 소셜미디어 사용에 대한 학문적 및 실무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조직은 구성원 간의 서통이 될 수 있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조성하거나 활동을 지원함으로 그 들 간의 활동을 강화할 수 있으며 성과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 즉, 소셜 미디어 활동은 조직 차원의 사회화 과정의 일부일 수 있으며 구성원 및 조직 차원의 성과를 가져오는 가치있는 수단으로 관리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소셜미디어 상호작용
2. 조직 구성원의 성과
3. 조직기반 자존감
III. 연구설계
1.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IV. 실증분석
1.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항목
2. 자료수집 및 표본특성
3. 측정변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4. 가설검증 결과
V. 결론
1. 연구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2.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수형 Choi, Su-Heyong. 부산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 강희경 Kang, Hee-Kyung. 부산대학교 경영학과 강사
  • 김예진 Kim, Yejin. 부산대학교 경영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